[국문법] 높임법 변화 과정
- 최초 등록일
- 2003.12.29
- 최종 저작일
- 2003.12
- 2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정말 열심히 만든 자료입니다.
유용하게 쓰세요.
목차
Ⅰ. 높임법
Ⅱ. 고대 국어 높임법
1. 상대 높임법
2. 주체 높임법
3. 객체 높임법
Ⅲ. 중세 국어 높임법
1. 들을이 높임법
2. 주체 높임법
3. 객체 높임법
4. 높임법의 겹침
5.「--」의 쓰임이 달라짐
Ⅳ. 현재의 높임법
1. 주체 높임법
2. 상대 높임법
3. 특수 어휘에 의한 높임법
Ⅴ. 대우법(높임법)의 명칭
1. 대우법의 성격
2. 대우법 명칭
본문내용
Ⅰ.높임법
인간이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들을이에게 표현하는 대표적 방법이 언어를 구사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이 행위를 구사할 때에는 여러 인물이 등장하는데, 이것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말할이와 들을이가 있다.
둘째, 언어를 구사하는 행위 즉, 대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있다.
이 인물들 상호간의 나이나 신분의 높낮이에 따라 여러 가지 높임의 표현법이 있다. 첫째 번의 관계는 말할이가 자신을 낮추면서 들을이를 높이는 ‘상대 높임법’이고, 둘째 번의 관계는 대화 속에 등장하는 사람이나, 그 사람에 관한 일이나 물건을 높이는 경우인데, 여기에는 말의 주체를 높이는 ‘주체 높임법’과, 말의 객체를 높이는 ‘객체 높임법’으로 나누어진다.
이런 높임의 표현법을 ‘높임법’ 또는 경어법(敬語法), 존대법(尊待法)이라 부르기도 한다.
우리말 특징 중의 하나가 높임법이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는 점이다. 다른 나라 말에 비해서 세분되어 있고, 복잡한 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은 익히 아는 바이다.
이런 현상은 고대국어에서부터 비교적 발달된 높임법의 문법 체계를 이루었으리라 추정된다
참고 자료
◎ 표준국어문법론. 남기심;고영근. 서울. 탑출판사. 1985
◎ 경어법과 국어교육 연구. 서덕현 .서울 : 국학자료원, 1996.
◎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 고영근 서울 : 집문당, 1997.
◎ 16세기 우리 옛말본 / 허웅 서울 , 1989.
◎ 고대국어 형태론 / 최남희 서울 : 박이정, 1996.
◎ 現代 國語의 待遇法 硏究/ 李潤夏 서울: 역락, 2001.
◎ 여격어를 존대하는 것처럼 보이는 '-시-' 문장의 통사 구조 / 박석준. 배달말. 31권(2002년 12월) (58-78P)
◎ http://www.seelotus.com/
◎ http://www.woorimal.net/hangul/gojunsiga-menu.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