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29 스터디 자료 중세국어 경어법 - 화자가 이야기에 관계되는 어느 인물에 대해 존대 의사를 표현하는 가에 따라 존경법(주체높임법) 주어나 주체로 표현되는, 행위나 상태의 ... 체언의 경어법 - 속격조사 ‘-ㅇㆎ/의’가 존칭 체언과 통합될 때 ‘-ㅅ’이 사용 - 여격조사 ‘-ㅅ그ㅇㅔ’, ‘-ㅅ긔(-ㅺㅢ)’, ‘-ㅅ게(-ㅺㅔ)’ → 속격조사 + 그ㅇㅔ(긔,
〃상대경어법은 청자의 신분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어법이며, 담당하는 요소는 종결어미이다. ... 국어의 경어법과 언어예절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경어법의 개념과 성격 교재에 따르면 경어법은 화자와 청자, 그리고 이야기에 등장하는 제삼자 간의 관계 속에서 관련 대상을 언어적으로
이러한 기존 교재의 부족한 점들을 보완하여 체계적으로 경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주체 경어법, 객체 경어법, 상대 경어법으로 단원 내용을 구성하여 교육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경어법이 사용되는 용어와 기능을 제시해주어야 학습자가 빠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모국어를 사용하여 한국어의 경어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용어 설명이 제시된다면 학습자가
경어법 -객체 경어법 4) 높임 형식에 따른 -문법적 경어법: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어휘적 경어법: 명사, 대명사, 동사, 조사 5) 사용 방식에 따른 -절대적 경어법: 대상 인물과 ... 말하기 방식 -객체 경어법: 동작의 객체를 높이는 말하기 방식 -청자 경어법: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상대방, 즉 청자를 높이는 것 3) 높임 대상에 따른 -청자 경어법 -제3자 경어법-주체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높임법의 차이는 선어말어미의 사용 유무에 있는데 중세국어에서의 경어법은 선어말어미에 의해서 실현된다. ... 후기 중세 한국어 경어법의 체계 및 특징 목차 ■ 선어말어미에 따른 높임법 1. 존경법 2. 겸양법 ■ 종결어미에 따른 높임법 1. 공손법 ■ 특수어휘에 따른 높임법 1.
객체경어법은 주체경어법과 마찬가지로 누구를 존대하느냐 않느냐로만 二分되는 경어법이다. ... 그런데 이처럼 겸양법이 화자가 자기보다 낮은 주체를 낮추는 경어법이라면 겸양법, 즉 객체경어법은 경어법의 한 종류로 독립되기보다는 주체경어법의 일부로 포함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주체경어법과 객체경어법은 문장 안에 나타나는 대상에 대한 경어법이라는 점에서 하나로 묶일 수 있으며, 그렇게 보면 한국어 경어법은 청자에 대한 경어법과 어떤 지시 대상에 대한 경어법의 ... 주체경어법과 객체경어법은 문장 안에 등장하는 어떤 대상에 대해 등급을 나타내는 경어법으로서 주체경어법은 한 문장의 주어(또는 주체)를 두 등급으로 나누어 높이기도 하고 안 높이기도
본론 1.경어법의 특성과 기능 (1) 경어법의 사회적 특성 (2) 경어법의 기능 2.경어법의 세 종류 (1)주체 경어법 (2)객체 경어법 (3)상대 경어법 Ⅲ. 결론 Ⅰ. ... 경어법의 특성과 기능 (1) 경어법의 사회적 특성 경어법은 한 마디로 대인 관계에 따라 알맞은 말씨를 골라 쓰는 것이라고 했다.
먼저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이 한데 얽히는 모습을 몇 예로써 보기로 한다. 상대경어법은 대표로 해라체와 합쇼체만 들기로 한다. ... (주체+, 객체+, 청자+) 이상에서 보면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은 각각 나머지 두 경어법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음이 없이 독자적으로 운영됨을 알 수 있다.
대명사에서 볼 수 있는 경어법의 양상한국어는 전체적으로 대명사의 쓰임이 활발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는데, 3인칭의 경우 앞 문장의 명사를 대명사로 받아야 하는 규칙이 한국어에는 없음대신 ... '어머님'이라는 선 행사를 '그분'으로 받는 일은 허용되지 않는다-> 일상 대화에서 가까운 사람을 '그분'으로 지칭하는 일은 아주 드물다.한국어의 경어법은 호칭에서 더욱 세분되는 양상면식이
경어법의 재조정 4. 1. 주체경어법과 상대경어법의 조합 한 인물이 주체경어법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상대경어법의 대상이 되는 수가 흔히 있다. ... 주체경어법의 대상 주체경어법은 한 문장의 주어를 어떻게 언어적으로 예우하여 표현하는냐 하는 경어법이며, 이는 그 대상을 높여 대우하느냐 않느냐로만 구분되는 이분체계의 경어법이다.
즉 문장 안에 그 모습이 드러나지 않는 청자의 신분에 따라 결정되는 경어법이다. 6. 3. 1-주체경어법 주체경어법은 한 문장의 주어를 어떻게 언어적으로 예우하여 표현하느냐 하는 경어법이며 ... ※객체경어법의 퇴보 오늘날 객체경어법이 퇴보하게 된 것은 아마 화자의 개입 정도가 주체경어법에서만큼 적극적이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경어법의 조합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은 각각 나머지 두 경어법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음이 없이 독자적으로 운영된다. ... 경어법의 종류 1)주체경어법 2)객체경어법 3)상대경어법 4. 경어법의 조합 5. 경어법의 결정 요인 이익섭 외,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