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실습 A+) 방문건강관리사업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1.11.11
- 최종 저작일
- 2020.08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A+) 방문건강관리사업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개념
2.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법적 근거
3. 방문건강관리사업
4. 사업의 대상
5. 대상자 관리방법
1) 건강상태 스크리닝
2) 건강관리 서비스
3) 보건소 내·외 연계 서비스
6. 방문간호사의 역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개념
보건의료 전문인력이 지역주민의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하거나 보건소 내 및 지역사회의 제반시설 등을 이용하여 건강문제를 가진 가구 및 가구원을 발견하고 건강증진, 만성질환 등 질병예방 및 관리에 적합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의뢰⦁연계함으로써 가족과 지역주민의 자가건강관리능력을 개선하여 건강수준을 향상시켜 주는 포괄적인 사업이다.
2.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법적 근거
∙지역보건법 제11조제1항제5호사목
지역보건법 제11조(보건소의 기능 및 업무)
① 보건소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서 다음 각 호의 기능 및 업무를 수행한다.
5.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관리를 위한 다음 각 목의 지역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라. 여성・노인・장애인 등 보건의료 취약계층의 건강유지・증진
사. 가정 및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 및 건강관리사업
3. 방문건강관리사업
-사업 정의:
∙보건소에 내소하여 건강관리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직접 가정 등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로써, 지역주민의 자가건강관리능력향상 및 허약예방 등을 통한 건강 수준 향상에 그 목적을 두고 있음
참고 자료
한국건강증진개발원, https://www.khealth.or.kr/board?menuId=MENU00863&siteId=null
김희걸 외, 지역사회간호학1, 현문사, 2020, P48-54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