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의 학벌주의와 대학 평준화의 도입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학벌주의
2.1. 학벌주의의 정의
2.2. 학벌주의의 원인 및 심화 요인
2.3. 학벌주의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3. 학벌주의의 극복대책이자 고교평준화의 연장선인 대학평준화
3.1. 고교평준화
3.2. 대학평준화의 선행사례인 프랑스
3.2.1프랑스의 대학평준화의 실시 방식
3.2.2.프랑스의 대학평준화의 후퇴와 후퇴요인
4. 대학평준화 도입 시 정부가 노력해야할점
4.1. 대학의 실질적 평등
4.2. 하향평준화를 방지하기 위한 교육의 보완
5. 결론
6.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입시준비를 경험한 대학생이라면 모두 한번쯤은 들어봤을법한 단어다. 이것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에서 각 대학의 앞글자를 딴 단어로, 인서울권 대학교들을 순위 매긴 것이다. 이 단어를 치면 연관검색어에 ‘대학서열’, ‘대학순위’ 등이 나올정도로 한국은 ‘줄세우기’에 익숙해져있다. 교육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그 경쟁의 결과에대한 보상으로 노력에대해 인정받는 것은 당연하나, 대부분 학생들은 명문대에 들어가 졸업하는 것을 출세로 여기며, 공부를 열심히해서 좋은 대학을 가고 좋은 대학에 가서 졸업장을 받으면 좋은 대기업에 취직해서 많은 돈을 벌 것이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있다. 고3 시절, 입시를 준비하면서 본인의 진로를 결정하기보다는 성적에 맞춰 대학가기 급급하고 과보단 대학의 이름에 무게를 두는 주변친구들을 보면서 무엇이 우리를 이렇게 만들었는가 생각하게되었고, 결국은 대학을 중요시하는 학벌주의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래서 학벌주의에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벌주의의 정의와 심화요인에대해 분석하고, 극복대책인 대학평준화에대한 나의 생각을 풀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Naver 어학사전, 「학벌주의」, 『표준국어대사전』,(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D%95%99%EB%B2%8C%EC%A3%BC%EC%9D%98)
Naver 어학사전, 「학벌」, 『국어사전』(https://ko.dict.naver.com/#/entry/koko/634f02d47ff544b69aad42aa24b59002)
정수희, 「대치동학원가 주차문제 이번에 해결될까?」,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23438&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벌주의에 관한 인식과 개선 요구 조사 연구」, 『연구보고서』, 2013년 12월
네이버 지식백과, 「바칼로레아」, 『시사상식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7464&cid=43667&categoryId=43667)
<그림1> 김중회/청년기자단, 「‘대학 평준화’는
장밋빛 미래에 불과했나? 」, 『Redian 』, 2018년 8월 3일, (http://www.redian.org/archive/124088?author=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