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최초 등록일
- 2020.08.19
- 최종 저작일
- 2020.08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장자 사상연구 및 영향력,한계점분석 및 장자 사상을 나에게 적용해본 연구레포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고하시고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
목차
1. 장자 인물소개
2. 장자 사상의 특징
3. 장자 사상연구
(1) 소요유
(2) 물아일체
(3) 제물론의 만물제동
(4) 좌망과 심재
(5) 장자의 정치사상
(6) 장자의 인생관- 도(道)
4. 장자의 사상이 미친영향
5. 장자사상의 한계점
6. 장자의 사상- 나 자신에게 적용해보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장자 인물소개
중국 고대의 사상가인 장자는 제자백가중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노자의 뒤를 이어 도가를 발전시킨 사상가로 평가되고 있다.
장자는 사회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극히 어지러워서불안정한 시기인 춘추전국시대라는 시대적 환경에서 태어나 이러한 환경에서 자신의 사상을 피력한 사상가중에 한명이었다.
2. 장자 사상의 특징
장자의 사상을 간단히 요약하자만 지인이 철학이다. 지인은 장자사상에서 이상적인 인물로, 수양을 통해 참다운 자아를 성취한 사람이며 장자는 그의 이상적인 인물을 지인이라는 말 이외에도 천인,성인,신인,진인이라는 단어을 쓰고 있다.
지인은 장자가 제시하는 새로운 자아를 확립한 이상적인 인간상이다. 장자사상의 목표와 최종 귀결점은 지인의 완성에 있다. 지인은 장자사상에서 자아의 최고 경지, 즉 참다운 자아를 완성한 자이다. 장자의 사상은 형식적으로 드러나는 형이상적이고 본체론적인 도를 중심으로 하는 철학이 아니라 지인의 완성 곧 진아의 완성에 있는 것이며, 도는 그것을 위한 방편적 개념에 불과한 것이다. 장자 철학에서 사용된 모든 범주와 개념과 논리는 지인의 자아 경지를 묘사하고, 지인의 완성과 그 방법, 지인의 주체적인 삶의 방식을 서술하려고 하는 방편과 도구에 불과하다. 따라서 장자 철학에서 자아의 문제는 장자 철학의 핵심문제이다.
3. 장자 사상연구
(1) 소요유
소요유는 구속이 없는 절대의 자유로운 경지에서 노니는 것을 뜻한다. 즉 속된 세상을 초월하여 아무런 거리낌 없이 참된 자유로운 세계에 마음을 노닐게 하는 지극한 사람의 경지를 말한다. 장자는 우리들의 희로애락을 비웃으며 도(道)의 세계, 이런 것들을 초월한 완전히 자유로운 세계, 즉 대자연의 커다란 품에 안길 때 비로소 진실 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자유로운 몸과 마음을 지닐 때, 즉 소요유의 단계에 이를 때 우리들은 참된 행복을 누릴 수 있다.
참고 자료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강신주
난세의 철학, 후쿠나가미쓰지
도덕경, 오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