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사상(장자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21.02.22
- 최종 저작일
- 2021.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도가사상(장자에 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자의 생애
2. 고전 장자
3. 장자의 사상
1) 제물론의 만물제동(萬物齊同) 사상
2) 좌망(坐忘)과 심재(心齋)
3)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
4) 史記 중에서
4. 장자의 사상이 사회에 끼친 영향
5. 장자 의 사상이 후대에 끼친 영향
6. 장자의 서적
본문내용
1. 장자의 생애
중국 고대의 사상가. 제자백가(諸子百家) 중 도가(道家)의 대표자이다. 성은 장(莊). 이름은 주(周). 송(宋)의 몽읍(蒙邑:河南省商邱縣 근처) 출생. 관영(官營)인 칠원(漆園)에서 일한 적도 있었으나, 그 이후는 평생 벼슬길에 들지 않았으며 10여 만 자에 이르는 저술을 완성하였다. 초(楚)나라의 위왕(威王)이 그를 재상으로 맞아들이려 하였으나 사양하였다. 저서인 《장자》는 원래 52편(篇)이었다고 하는데, 현존하는 것은 진대(晉代)의 곽상(郭象)이 산수(刪修)한 33편(內篇 7, 外篇 15, 雜篇 11)으로, 그 중에서 내편이 원형에 가장 가깝다고 한다. 《장자》장주학파(莊周學派)의 논설집으로, 기발한 우언(寓言)과 비유로 문명을 날카롭게 비평하였는데, 인위(人爲)를 버리고, 무위자연(無爲自然)에 복귀할 것을 설파하였다.
만물을 끊임없이 유동변화하는 것으로 보고, 그 유동변화를 도(道)라고 하는 만물일원론(萬物一元論)을 주장하였다. ('자연과 나는 하나'라는 물아일체 사상을 주장)
인생관을 사생(死生)을 초월하여 절대무한의 경지에 소요(逍遙)함을 목적으로 하였고, 또한 인생은 모두 천명(天命)이라는 숙명설(宿命說)을 취하였다. (노자에 비해 탈속한 정신적 절대 자유를 추구하는 경향)
<중 략>
5. 장자 사상이 후대에 끼친 영향
이러한 장자사상은 위진현학魏晉玄學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남북조 시대에 성행한 반야학般若學과 당나라 때 융성한 선종禪宗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현종(玄宗)은 그에게 남화진인(南華眞人)이라는 호를 추증하였으므로, [장자]는 《남화진경(南華眞經)》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읽혔다. 송宋 · 명明 이학理學은 유학을 위주로 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장자철학을 수용하였다. 장자의 이러한 초탈사상은 자연주의 경향이 있는 문학예술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런데 장자의 후학에 이르러서는 초탈의 종교성은 신선사상(神仙思想)과의 결합을 보여 내면적인 수행의 강화를 추구하지만, 다른 면으로는 현실적 효과를 추구하는 세속적 관심도 커져서 처세와 정치적 성공까지 추구하게 되면서 《노자》와 접근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감산,「감산의 장자 풀이」, 서광사, 1990.
김교빈, 이현구「동양철학에세이」, 동녘, 2003.
오강남,「장자」, 현암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