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조사] 관찰의 종류(참여관찰)
- 최초 등록일
- 2020.07.26
- 최종 저작일
- 2020.07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참여관찰
2. 비참여관찰
3. 준참여관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찰의 종류는 관찰의 참여정도에 따라 참여관찰, 준참여간찰, 비참여관찰로 나누어지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참여관찰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은 관찰자가 관찰대상이 되는 집단에 들어가서 그 집단의 성원이 되어 참여하며 관찰하는 방법이다.
즉 그 집단의 구성원이 되어 역할을 수행하며 관찰을 수행하는 방법인데, 예를 들면 노숙자를 연구하기 위해 노숙자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노숙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관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참여관찰의 장점은 관찰자가 신분을 밝히지 않음으로써 피관찰자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자료를 얻을 수 있고 피관찰자와 같이 생활함으로써 깊이 이해하여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감정이나 행동에 대한 내면의 의식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반면 참여관찰의 단점은 관찰자가 관찰집단의 구성원으로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관찰자가 오랫동안 피관찰자와 함께 생활함으로써 객관성을 잃기 쉽고 관찰집단에 익숙해질 경우 집단의 특성을 간과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