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조사의 유형] 체계적 관찰과 비체계적 관찰
- 최초 등록일
- 2020.07.25
- 최종 저작일
- 2020.07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I. 체계적 관찰
1. 개념
2. 체계적 관찰의 유형
1) 현장에서 행하는 체계적 관찰
2) 통제실험에서 행하는 관찰
3. 체계적 관찰의 내용
II. 비체계적 관찰
1. 개념
2. 비체계적 관찰의 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체계적 관찰
(1) 개념
체계적 관찰은 관찰의 절차와 대상을 사전에 명백히 정하여 관찰조건을 표준화하고, 계획된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체계적 관찰시에는 대개의 경우 관찰표 등의 기록장치가 사전에 마련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음료수를 선택하는 과정을 관찰하고자 할 때, 소비자가 고려한 제품 : ()개, 상표 : (), 최후 구매제품 : (), 구매에 고민한 시간 : () 등으로 기록될 것이다.
(2) 체계적 관찰의 유형
1. 현장(field setting)에서 행하는 체계적 관찰
이는 일상생활상태의 현장에서 관찰이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관찰의 대상이 되는 행위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으며, 그때의 상황에 따라 조사연구의 목적에서는 기대하지 않았던 다른 요인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2. 통제실험 (controlled experiment)에서 행하는 관찰
이는 통제실험에 의한 실험실 상태 하에서 관찰이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실험적 관찰이라고도 한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