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조사의 종류] 참여관찰, 비참여관찰, 준참여관찰의 개념 및 장단점
- 최초 등록일
- 2020.07.25
- 최종 저작일
- 2020.07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I. 참여관찰
1. 개념
2. 참여관찰의 장·단점
II. 비참여관찰
1. 개념
2. 비참여관찰의 장·단점
III. 준참여관찰
1. 개념
2. 준참여관찰의 장·단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참여관찰
(1) 개념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은 관찰대상의 자연성과 유기적인 전체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관찰자가 관찰대상집단 내에 들어가서 그들 집단의 일원이 되어 공동생활에 참여하면서 시행하는 관찰이다.
예를 들어, 교도소의 죄수문제를 연구하고자하는 경우 조사자가 실제로 죄수노릇을 하는 경우라든가, 또는 인류학자들이 원주민들과 섞여 살면서 그들의 행태를 조사하는 방법 등이 여기에 속한다.
(2) 비참여관찰의 장 ․ 단점
참여관찰은 밖으로 나타나지 않는 어떤 사실까지도 경험 가능할 뿐 아니라 자연적인 상태를 그대로 두고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참여관찰은 관찰자가 집단 내부에 참여하고 있으므로 관찰자가 관찰행동에 제한을 받고, 관찰의 객관성을 잃을 우려가 있으며, 관찰대상에 대한 주의력을 상실할 우려가 있으며, 자료의 표준화가 곤란한 점 등의 단점이 있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