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조사의 종류] 관찰법의 유형(직접관찰과 간접관찰,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 구조화·비구조화관찰)
- 최초 등록일
- 2020.07.30
- 최종 저작일
- 2020.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I. 직접관찰과 간접관찰
II.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
III. 구조화·비구조화 관찰
본문내용
관찰은 자연스러운 상황이나 실험실 상황에서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 생활에서 벌어지는 학습유형과 같은 조사문제들이 연구될 수 있다(예를 들면 교실이나 운동장). 관찰과정은 매우 융통적인 관찰에서 사전에 계획된 구조화된 도구의 사용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매우 넓다.
조사자들은 자신이 관찰하고 있는 집단의 활동에 참여할 수도 있다. 그들은 집단 구성원들과 마찬가지로 관찰되지만 참여는 최소화 된다. 집단의 부분이 되지 않으면서도 관찰의 역할을 가정할 수 있다. 또는 자신의 참여가 관찰되고 있는 사람들에게 비밀이 될 수 있다(Nachmias & Nachmias, 1992, 200).
또한 앞서 지적되었듯이 관찰은 다양한 연구목적에 적용될 수 있다. 문제형성이나 가설을 찾기 위한 탐색적 수준에서도 사용되며, 다른 조사기술에 의해서 얻어진 사실의 해명을 돕기 위한 보충적 자료의 수집을 위해서도 쓰이고 정확한 사회적 상황의 기술을 위해서 그리고 인과관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수집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활용된다.
이처럼 관찰법은 그 용도와 방법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I. 직접관찰과 간접관찰
직접관찰이란 연구자 또는 조사자가 연구대상을 직접 보고 그 관찰한 바를 기록하여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직접관찰법이라고 한다. 그러나 연구대상인 행동이나 사건 등의 사회적 현상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상황이나 조건 속에서 일어나는 수도 있다. 또는 사건의 경우 발생한 뒤에야 알게 되는 수도 있고, 상황이나 상호작용, 행위 그리고 사회적 과정을 자연 그대로 개입이나 반응을 하지 않은 채 관찰하려고 하는 때도 있다. 이런 경우에 간접적 관찰을 하게 된다.
이런 간접관찰은 시간적 ․ 공간적인 접근성이 없어서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었던 사건, 행위나 태도를 각종 기록물, 문헌 혹은 사후적 흔적을 통해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