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일반생물학실험]Colony Dilution 및 Spreading"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1) 실험 배경
2) 미생물의 배양
3) 순수배양기술(pure culture)
4) 평판법에 의한 순수배양의 분리
5) Serial Dilution
6) Streaking and Spreading
3. 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재료
4. 실험 방법
1) Colony Dilution
5. 실험 결과
1) colony를 관찰하고 사진을 찍어 수를 세어보시오.
2) 희석하지 않은, 제일 처음의 E.coli 수를 추측해보시오.
6. 토의 사항
1) 실험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1.1. 배지를 만들고 그 배지에 colony를 희석하여 colony의 개수를 직접 확인하고 계산하여 본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2.1. 실험 배경
식품, 토양, 생체, 그 밖의 환경에서 미생물상(microflora)을 알아보면 미생물들은 단일종으로 존재하는 것은 거의 드물고 여러 가지 종류의 미생물군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몇 가지 종류의 미생물이 서식하며 우점종(dominant) 등을 알아보는 생태학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서식처로부터 단일종의 미생물을 분리하는 일과 배양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실험실 내에서 인공적으로 미생물을 증식하는 수단을 배양(culture)이라 하는데 두 종 이상의 세균이 동시에 배양될 때 혼합 배양(mixed culture)이라 하고, 혼재된 균군 중에서 원하는 균만 따로 분리하여 배양하는 것을 순수 배양(pure culture)이라 한다. 단일 종의 미생물을 분리하는 방법에는 도말평판법(streak plate method), 주입평판법 (pure plate method), 분산평판법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streaking과 spreading 방법을 익히고, 집락이 형성된 경우 형태(form), 표면(surface), 주변(edge), 고도(elevation), 육안적 특징(optical characteristics), 및 색소생성(chromogenesis) 냄새(odor)등을 중점적으로 관찰한다.
2.2. 미생물의 배양
2.2.1. 접종
미생물을 배양한다는 것은 한 작은 시료를 그것들이 증식할 수 있는 영양배지에 심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접종’이라고 한다. 이때 시료 채취와 접종에 쓰이는 도구들은 항상 무균적이어야 한다. 눈으로 확인 가능한 성장을 이루어 배지에 나타나는 과정을 배양이라고 하는데, 시료의 배양 환경은 분석 목적에 따라 다르다.
참고 자료
미생물학 실험서, 이혜주,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2, p.42~p.45
생명과학실험서, 김관선 외 10명, 정문각, 2002, p.19
미생물학 길라잡이 6판, Kathleen Park Talaro, 라이프사이언스, 2010, p.62~p.64, p.73~p.74
미생물 실험서, 이미래, 윤재영 효일문화사 1995
최신일반미생물학 실험, 홍순우, 1978
The Microbial World, Roger Y. Stanier외 3명, 아카데미 1991
Microbiological Applications, Harold J. Benson, McGraw-Hill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