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와 백자 비교하기
- 최초 등록일
- 2020.06.14
- 최종 저작일
- 2020.05
- 1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청자와 백자 비교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비교)
본문내용
청자와 백자의 차이점은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도자기 공예가 하나의 서민적 문화로 자리를 잡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고려시대의 문관과 무관 등의 사대부적 권위적인 작업과 소장에서 벗어나 조선시대에는 생활 속의 자기문화가 형성되었다.
청자와 백자는 모두 같은 자기이다. 백자는 고령토라는 백토를 원료로 써서 만든다. 백자보다는 청자가 먼저 만들어졌다. 청자의 푸른 빛은 흙 속에 있는 철분이 가열되어서 나타난 것이다. 철분이 산화 제2철이 되면 황변 현상이 일어나고 여기서 더 가열하면 산화 제1철이 되는데 여기서 녹변 현상이 일어난다. 쉽게 말해, 청자 중에서 실패한 것들은 황색을 띄게 되는 것이다.
고려에서 청자가 발달하는 동안 중국에서는 백자가 나타났다. 고려도 청자를 더욱 발달시켜 상감청자를 만들기 시작했다. 상감청자는 청자의 최고봉이라 불리는데 상감청자를 보면 특히 운학무늬(구름과 학)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고려시대 사람들의 세계관이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