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보건소 사업 파악 (방문건강관리사업)
- 최초 등록일
- 2020.05.21
- 최종 저작일
- 2020.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방문건강관리사업 (C-2)
①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시오.
②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인력 구성을 기술하시오. (보편적인 인력구성 서술)
③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주요업무를 기술하시오.
④ 방문건강관리사업 실습 중 경험한 가정방문을 토대로 다음을 기술하시오.
⑤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대한 종합의견 및 평가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
본문내용
①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시오.
- 목적 : 취약계층의 건강인식제고, 자가 건강관리능력 향상, 건강상태 유지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 필요성
1. 취약계층 건강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 보건소 내/외 자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대상자의 외부활동 확대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중 략>
②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인력 구성을 기술하시오. (보편적인 인력구성 서술)
1. 조직 구성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팀 접근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전문 인력으로 구성 권장한다. 의사, 한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치과위생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 인력과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운영한다.
2. 인력 자격 및 업무
●의사, 한의사
-서비스 대상자 및 가족, 집단 등의 방문 진료 및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대상자의 혈액 검사 등 필요시 처방, 채혈 등 관리 및 감독
-임상적 소견과 의학적 자문 제공, 사례관리 집담회 참여 등
● 간호사
-대상자별 주요 건강문제 선정 및 관련 업무 계획
-지역사회 내 건강위험요인이 있는 대상 가구 및 집단 발굴 및 등록관리
-건강문제 스크리닝,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보건소 내・외 자원 연계 실시
● 물리/작업치료사
- 간호사가 의뢰한 대상자 및 집단 등에 재활 상담 및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대상자 및 가족 등 주요 건강문제 선정 및 관련 업무 계획
- 재활 관련 서비스 제공 : 통증감소, 균형 및 협응 촉진으로 가동성 개선, 영구적 신체장애 지연 및 예방 등
● 운동 관련 전문인력
- 간호사가 의뢰한 대상자 및 집단 등에 신체활동 상담 및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대상자 및 가족 등 주요 건강문제 선정 및 관련 업무 계획
- 신체활동 관련 서비스 제공 : 균형감각 촉진, 근력강화, 자가관리 훈련, 체력 및 건강 촉진・유지・회복 등
참고 자료
박인혜 외 (2017). 지역사회 간호학 Ⅰ. 현문사
박인혜 외 (2017). 지역사회 간호학 Ⅱ.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