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미생물학실험 미생물의 고분자 물질 가수분해 실험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0.05.20
- 최종 저작일
- 2020.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식품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실험 보고서입니다.
목차
1. 목적
2. 개요
3. 재료 및 기구
4. 실험방법
5.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1. 목적 (Objects) : 미생물이 체외로 분비하는 효소의 종류는 미생물의 고유특성에 속하는데 본 실험에서는 배지에 고분자물질을 첨가하여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었을 때 고분자 물질과 가수분해산물의 물리화학적인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근거하여 미생물이 성장하면서 체외로 분비하는 효소의 관찰법을 익히고자 한다.
2. 개요 :
① 미생물이 생산하는 체외 분비효소는 주로 환경에 존재하는 고분자물질을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② 미생물의 종류에 ᄄᆞ라서 체외 분비효소의 종류와 활성이 다르며 이는 미생물의 생화학적 성질에 속하여 미생물을 동정하는데 하나의 기준이 된다.
③ 체외 분비효소의 기능은 배지에 존재하는 고분자물질을 미생물이 영양분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저분자물질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④ 고분자물질 가수분해 효소로는 탄수화물인 전분과 비전분성 다당류를 가수분해하는 amylase와 cellulase, xylanase, mannanase, pectinase 등이 있고, 단백질성 고분자 물질인 casein을 가수분해하는 protease와 지방을 가수분해 하는 lipase가 있다.
⑤ 또한 동물의 가죽, 힘줄, 연골 등을 구성하는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열수로 처리하여 얻는 gelatin을 가수분해하는 gelatinase도 있다. Gelatin온수에는 녹아서 졸(sol)이 되고, 고농도 용액은 실온에서 탄성이 있는 젤(gel)이 된다. 그러나 gelatin은 그 분자량이 약 15,000 ~ 200,000의 불균일한 물질이며 gelatin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분자량이 2,000 ~ 5,000 정도의 수준으로 되면 저온에서도 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⑥ 이러한 효소는 대개가 체외로 분비되는데 이러한 효소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평판배지에 각 고분자물질을 첨가하여 배양한 후 고분자물질의 물성변화와 염색성 차이를 이용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