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작품분석, 최인호 의 “타인의 방”
- 최초 등록일
- 2020.05.20
- 최종 저작일
- 2020.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현대문학 작품분석, 최인호 의 “타인의 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거리’와 ‘방’의 의미를 통한 욕망과 고독
2. 새로운 공간에서 낯설음을 느낀 ‘그’
3. 상상적 고투의 산물 - 환상을 통한 ‘그’ 의 사물화
4. 실체 없는 허구의 내면풍경 - 타인의 방
5. ‘길들이기’에 대한 해석- ‘그’의 인간관계
Ⅲ.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우리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대화를 하게 된다. 직접 만나서 대화를 나눌 경우가 많지만 때론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 등을 통해서도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그 사람들 중에서 단순히 스쳐지나가지 않고 내 기억 속에서 오랜 잔영을 갖게 하는 이도 있다. 예사롭지 않아 다가가고픈, 궁금증을 유발하는 사람이면서 자신이 처한 상황을 극복하기보다 내면적으로만 기괴한 분출을 하는 표현력이 부족한 한 남자가 있다. 차가움과 외로움의 방 책꽂이에 가만히 꽂혀 있던 책. 그 속에서 상징적 악몽을 꾼 낯선 이방인을 다시 만나본다. 여기서 상징적 악몽이란 그가 인간으로서의 고독을 느끼는 순간 사물화 되는 환상을 말하며, 낯선 이방인이란 자신이 주체가 되어야 할 공간에서 소외되어 타인의 방이라는 낯설음을 느낀 그의 체험을 대변하는 말이라 하겠다. <타인의 방>은 우리 사회의 도시화 과정이 지닌 문제점을 ‘그’라는 익명의 인물을 통해 1970년대적 감성의 혁명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은 작품이다.
참고 자료
김미영. 모더니즘 소설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2004
나병철. 비동일성의 시선과 낯설게 하기. 한국문학연구학회. 1998
안남연. 최인호 작품과 현 시대 인식의 상관적 관계. 한국문예비평학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