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 작가의 타인의 방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9.06.25
- 최종 저작일
- 2009.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최인호의 소설 타인의 방을 주제로한 레포트입니다.
작가와 작품에 대해 공부하시는데 부족함이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자세한 정리내용은 목차를 참고해주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작가 최인호
1) 최인호의 연보
2) 최인호의 작품 경향
2. 작품 소개
1) 줄거리
2) 1970년대의 시대적 상황
3. 작품 분석
1) 작품 내용
(1) 현실과 환상의 이중주
(2) 사물들의 반란
2) 인간 소외에 대한 상징
(1) 공간적 배경
(2) 대조
4. 평가 (한계와 의의)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인호는 작가생활을 한 지난 30여 년 동안 문단에서 비평적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는 1967년 <조선일보>에 「견습환자」 1963년 고등학교 재학시절 단편 「벽구멍으로」가 한국일보 신촌문예에 입선하기는 했지만, 일반적으로 1967년 「견습환자」가 그의 당선작으로 알려져 있다.
가 당선된 후 3, 4년 동안 독특한 주제 의식과 세련된 문장으로 씌어진 소설들을 발표함으로써, 이른바 70년대 문학의 선두주자로 불릴 만큼 문단의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최인호의 소설에 대해 비평가들의 평가가 항상 긍정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최인호는 「별들의 고향」이라는 대중 소설의 성공과 함께 베스트셀러 작가, 호스티스 작가로 불려지기도 했다. 이에 그 후 발표된 그의 단편들이 비평가들의 논의에서 제외되거나 폄하된 것도 사실이다.
1990년대 이후에 연구된 최인호 작품에 대한 평가는 주로 「타인의 방」과 같은 부류에 집중되어 있다. 황도경 황도경, 「물화의 공포와 유혹- 최인호의 <타인의 방>」, 『문학사상』, 1999. 3.
은 「타인의 방」을 도시적인 삶의 공간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소외와 실존을 다룬 문제적 소설로 분석하였으며, 채호석 채호석, 「억압된 것으로의 귀환- 사물화의 악몽을 묘파한 <타인의 방>」, 『문학사상』, 2000. 3.
도 「타인의 방」에서 사물화의 악몽을 읽어내고, 그것은 1970년대라는 시간적인 조건을 넘어 보편성이라는 생명력을 획득하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우리는 1970년대의 도시 문명을 그리고 있는「타인의 방」을 분석해 봄으로 최인호가 그 시대에 취하고 있는 문학적 입장이 무엇인지, 그리고 최인호의 전반적 작품 경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작가 최인호
1) 최인호의 연보
서울에서 3남 3녀 중 차남으로 1945년 10월 17일 출생
1963 년 고등학교 재학 중 단편 <벽구멍으로> 한국일보 신춘 문예 입선
1967 년 단편 <견습환자>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되어 등단
1972 년 연세대 영문과 졸업
1972 년 현대 문학상 수상
참고 자료
최인호, 「타인의 방」, 문학동네, 2002.
김진형, 「최인호 소설 연구」, 2005. 12.
남진우, 「현대의 신화- 최인호 문학의 기원」, 『타인의 방』, 2002.
김종욱, 「근대화의 유혹과 개인적 자유 사이에서의 줄다리기」, 『문학사상』, 2000. 3.
이동하, 「최인호 타인의 방 -도피와 긍정」
채호석, 「억압된 것의 귀환- 사물화의 악몽을 묘파한 <타인의 방>」, 『문학사상』
황도경, 「물화의 공포와 유혹- 최인호의 <타인의 방>」, 『문학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