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사 연표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9.09.03
- 최종 저작일
- 2018.1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 현대 문학사의 흐름을 연표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각 연대별 특징 및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품의 예시와 작가가 나와있습니다.
1876년부터 1959년까지의 문학사의 흐름입니다.
목차
1. 1876년~1910년
1) 특징 및 사건
2) 연도 및 작품
2. 1911년~1919년
1) 특징 및 사건
2) 연도 및 작품
3. 1920년~1929년
1) 특징 및 사건
2) 연도 및 작품
4. 1930년~1939년
1) 특징 및 사건
2) 연도 및 작품
5. 1940년~1949년
1) 특징 및 사건
2) 연도 및 작품
6. 1950년~1959년
1) 특징 및 사건
2) 연도 및 작품
본문내용
1.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근대 시작
2. 1894년 동학 농민운동과 갑오경장을 지나며 ‘한글’ 중심으로 변화
(농민 의식의 성장과 근대적 개혁이 이루어짐)
3. 1910년 경술국치로 인해 자주·독립·계몽의 주제
4. 공적인 언어의 사용이 국문으로 공식화되었음
5. 토론체와 우화 소설, 창작 영웅 전기의 등장
5-1. 연설의 발달
만민공동회 경험과 독립협회의 경험으로 연설이 유행하게 됨
5-2. 토론체
인물들의 대화(토론)으로 이야기 전개가 이루어짐 (행동보다 말, 대화가 중심적)
5-3. 우화
우화적 상황과 우화적 성격을 중시하는 두 가지의 경향이 생겨나게 됨
5-4. 창작 영웅 전기
이순신전, 강감찬전 등의 영웅 이야기
6. 풍자와 현실 비판 양식의 발달
6-1. 풍자
식민지화 과정에서 비롯된 훼손된 삶의 가치문제가 중심을 이룸, 말 자체의 논리성과 공격성이 중요시 됨
7. 개화가사와 동학가사, 의병가사
7-1. 개화가사란 개화 계몽 시대의 신문·잡지에 발표된 글로 쓰인 가사 형식
(4음보 연속체의 율문이었으나, 할 말이 많아져 길이가 길어지게 된 형태)
7-2. 동학가사란 동학의 이념을 전파하고, 동학교도들을 위한 가사
7-3. 의병가사란 의병 활동에 참여한 보수적 지식층들로 구성
8. 창가와 신체시
8-1. 창가란 가사에서 율격이 변형되고 노래로 불려왔던, 음악성이 높은 것을 말함
(최초의 창가는 애국가)
8-2. 신체시는 과도기적 성격을 가지는 형태
(연과 연의 글자 수가 동일, 시조와 가사보다 더욱 엄격한 율격을 가짐)
9. 신소설
9-1. 《만세보》에 연재된 이인직의 <혈의 누>
1) 사실에 가까운 묘사체 문장
2) 언문일치에 접근한 문체 (‘말하기’의 문체에 가까워짐)
3) 시간 순서 배치의 역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