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소개글
"[요약] 생각에 관한 생각_대니얼 카너먼"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1부_ 두 시스템1장. 등장인물
2장. 주목과 노력
3장. 게으른 통제자
4장. 연상 작용
5장. 인지적 편안함
6장. 정상, 놀람, 원인
7장. 속단
8장. 판단이 내려지는 과정
9장. 더 쉬운 문제에 답하기
Ⅱ. 2부_어림짐작과 편향
10장. 소수 법칙
11장. 기준점 효과
12장. 회상 용이성의 과학
13장. 회상 용이성, 감정, 잠재적 위험
14장. 톰 W의 전공
15장. 린다: 적은 게 많은 것이다
16장. 인과관계는 통계를 이긴다
17장. 평균 회귀
18장. 직관적 예측 길들이기
Ⅲ. 3부_ 과신
19장. 이해 착각
20장. 타당성 착각
21장. 직관 대 공식
22장. 전문가의 직관: 언제 신뢰해야 할까?
23장. 외부 관점
24장. 자본주의의 동력
Ⅳ. 4부_선택
25장. 베르누이 오류
26장. 전망 이론
27장. 소유 효과
28장. 나쁜 사건
29장. 네 갈래 유형
30장. 드문 사건
31장. 위험관리 정책
32장. 심리적 계좌
33장. 역전
34장. 틀과 사실
Ⅴ. 5부_두 자아
35장. 두 자아
36장. 이야기로서의 삶
37장. 체감 행복
38장 삶을 돌아볼 때
Ⅵ. 결론
본문내용
1장. 등장인물이 책은 심리학자 키스 스타노비치(Keith Stanovich)와 리처드 웨스트(Richard West)가 맨 처음 제안한 용어를 이용해, 정신 체계를 ‘시스템1’과 ‘시스템2’로 구별한다. 시스템1은 저절로 빠르게 작동하며, 노력이 거의 또는 전혀 필요치 않고, 자발적 통제를 모른다. 시스템2는 복잡한 계산을 비롯해 노력이 필요한 정신 활동에 주목한다. 흔히 주관적 행위, 선택, 집 중과 관련해 활동한다.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시스템1과 시스템2는 매우 효율적으로 역할을 분담해서, 최소의 노력으로 최 대의 성과를 올리지만, 때론 체계적 오류인 편향을 보이기 쉽다. 이 예로 시스템1과 2의 갈등, 착 각이 있다. 자동 반응과 그것을 통제하려는 시도가 서로 ‘갈등’하는 일은 삶에서 흔히 일어난다. 이 경우 시스 템2의 임무 중 하나인 시스템2의 충동을 누르는 경우다. 시각적 착각뿐 아니라 생각에서도 착각을 유발하는 ‘인지 착각’의 경우도 두 시스템의 충돌이 빚어 낸 결과이다. 인지 착각을 막는 것은 자기 생각에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해야 하기 때문에 불가능할 정도이며, 우리는 막기보단 타협을 해야 한다. 실수가 일어날 법한 상황을 인지하는 법을 배우고, 심각한 실수가 일어날 확률이 높을 때 그것을 피하려고 더 노력하는 것이 방법이다.
2장. 주목과 노력
시스템2의 특징은 작동하는 데 노력이 들어간다는 것과 게으르다는 점, 그래서 꼭 필요한 만큼의 노력만 쏟는다는 점이다. 그래서 시스템2가 자신이 선택했다고 믿는 생각과 행동이 사실은 시스템 1의 주도로 이루어 질 때가 많다. 적절한 곳에 주목하고 집중력을 할당하는 정교한 작업은 오랜 진 화의 역사를 거치면서 다듬어졌다. 심각한 위협이나 절호의 기회에 재빨리 주목하고 반응하면 생존 기회가 높아지는데, 이 능력은 분명 인간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심지어 오늘날의 인간도 비상 상황에서는 시스템1이 주도권을 쥐고 자기 보호 행동에 최우선 순위를 둔다. 어떤 일에 능숙해지면 필요한 에너지는 줄어든다.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독서후기-어떻게 살것인가? 유시민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