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두 (BAIDU)
- 최초 등록일
- 2019.05.14
- 최종 저작일
- 2019.0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바이두의 시작
1.1 기업 개요
1.2 설립 과정
1.3 대표 리옌홍
1.4 사내 문화
2. 바이두의 성장
2.1 현황
2.2 바이두를 이끈 삼두마차
2.3 성공 요인
3. 바이두의 미래
3.1 신(新)사업 분야: 인공 지능
3.2 전망
본문내용
1.1 기업 개요
중국 최대의 검색 엔진
2005년 8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이후, 2011년 세계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브랜드 2위를 기록하였다. 당시 연간 성장률은 1위인 페이스북(246%)에 이어 141%였다. 바이두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80%에 가까워, 독점이라 부를 수준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준다.
온라인 검색엔진을 바탕으로 중국 내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해왔으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SW/HW 융합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특히 검색영역에서의 독보적 지위를 기반으로 축적한 빅데이터를 강점으로 하드웨어 협력업체에게 마케팅, 홍보, 유통 등의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BAIDU Inside 생태계 구성하고 있다.
바이두는 검색 엔진 포탈로 시작하였다. 현재 이것을 바탕으로 커뮤니티(티에바), 블로그(콩찌엔), 지식 서비스(쯔다오), 백과사전(바이커) 등을 제공하고 있다.
1.2 설립 과정
百度(바이두)는 중국 송나라 시대 시인 신기질(辛弃疾)의 시 <청옥안·원석青玉案·元夕>에서 유래하였다. 시에서 ‘애타게 찾다’라는 뜻으로 쓰인 ‘百度’가 중국 최대의 검색 엔진의 이름이 된 것이다.
리옌홍이 처음부터 사업가의 길을 걸었던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의 유학 이후 월스트리트에서 금융정보 시스템을 다루었지만 IT 개발자의 꿈을 가지고 있었기에, 안정적인 직장을 뒤로 하고 실리콘밸리의 인포시크에 입사하게 된다. 이후 인포시크의 주식을 디즈니에서 다량 매입하자 실리콘밸리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멀어졌다고 판단한 리옌홍은 창업을 하기로 결정하게 된다.
당시 미국의 검색엔진 기술은 상당히 많이 발전해 있었던 것에 반해, 중국은 인터넷 발전이 미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큰 격차가 벌어져 있었다. 리옌홍과 그의 동창이자 선배인 슝위는 두 곳의 벤처 캐피털로부터 120만 달러를 투자 받은 뒤 중국으로 돌아가 바이두를 설립했다. 그것도 모교인 베이징 대학교 인근에 위치한 허름한 호텔에 자리를 잡았다. 모든 스타트업이 그렇듯, 초기 1~2년은 변변치 못했다.
참고 자료
류스잉·평정, 『바이두 스토리』, 미래의 창(2011)
이대형, 『중국을 움직이는 거인들과의 대화』, 카멜북스(2016)
http://shindonga.donga.com/Print?cid=110541
http://www.bloter.net/archives/214886
http://news.joins.com/article/21985895
http://www.ipnomics.co.kr/?p=59636
http://dbr.donga.com/article/view/1202/article_no/4455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22/2017092202030.html#csidxe5189199bab3d2ab0c00043dc6ddfd9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31738
http://thegear.co.kr/14813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224000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