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최초 등록일
- 2019.03.14
- 최종 저작일
- 2019.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주제: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우리나라 평생교육은 어떻게 발전했나
2.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문제점
1) 프로그램의 획일화
2) 노인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문제
3. 해외의 우수 사례
4. 현재 시점에서의 국내 평생교육 우수 사례
5. 평생교육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야 할까
III. 결론
IV. 출처
본문내용
I. 서론
사람들은 누구나 배우고자 한다. 영어를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은 영어를 더 배우고 싶어 하고, 우리나라 사회에서 뿌리를 내리고 싶어 하는 외국인은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한다. 어떤 사람은 자신의 업무상의 숙련도를 더 높이기 위해 배우고 싶어하기도 하고, 또 다른 사람은 젊었을 때 여러가지 이유로 배우고 싶었는데도 배우지 못한 한을 풀기 위해 교육시설을 찾기도 한다. 정규교육과정은 종료되었지만 배움의 뜻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사회에서는 평생교육이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II. 본론
1. 우리나라 평생교육은 어떻게 발전했나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은 1999년부터 본격적으로 제도화되기 시작했다. 제도화되기 이전의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은 문맹인을 위한 문해교육이나 교육받지 못한 이들을 위한 교육운동적 성격이 강했다. 1999년에 평생교육법이 제정된 이후 평생교육은 본격적으로 공적 체계를 갖추어가기 시작했다. 국가 평생 교육센터나 광역 지자체 평생교육정보센터, 평생학습과 등이 구축되기 시작했다.
참고 자료
다문화교육과 평생교육, 김진희, 박영스토리, 2018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신용주, 학지사, 2017
평생교육의 세 가지 지평, 권대봉, 박영스토리, 2017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제도에 관한 질적 연구, 신명신, KISTI, 2014
서울시, 평생교육에 '명예시민학위' 도입…일자리 연계, 박초롱, 연합뉴스, 2018.04.09
해외 평생교육 사례-영국, 독일, 미국, 일본의 평생교육을 만나다, The Hoper Report 14호, 2013
평생교육 관련 제도 개선방안 연구, 박인종, 교육과학기술부, 2012
성인의 평생교육 수요 조사 분석 연구, 강문구, 교육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