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성인간호 실습 CRF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18.12.20
- 최종 저작일
- 2017.04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900원

판매자wlgus****
1회 판매

목차
1.만성신부전 정의
2.문헌고찰
1)만성신부전 원인
2)병태생리
3)증상과 징후
4)진단검사
5)치료
6)간호
7)특수치료
8)합병증
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4.간호과정
5.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1. 만성신부전 정의
만성적인 신질환이 수개월 이상 계속되면서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 기능의 상실을 의미하며, 3개월 이상 GFR 사구체여과율이60mL/min/1.73m2 이하(정상125ml/min/1.73m2)일 때 만성신부전으로 정의.
만성 신부전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다음의 5단계로 나누어지며, GFR 15mL/min/1.73m2미만으로 떨어지면 ESRD (End-Stage Renal Disease 말기신부전)이라고 하고, 이때는 신기능 대체요법 (투석 또는 이식)이 필요하다.
2.만성신부전 문헌고찰
1) 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CRF)의 원인
CRF의 원인은 복잡하고 신장 기능의 점진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질병은 100가지가 훨씬 넘을 만큼 다양하나, 3대 주요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만성사구체신염
< 중 략 >
2)병태생리
(1) 신장변화 신장
GFR이 감소하고, 소변 생성과 수분 배설에 이상이 오며,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정상 기능의 네프론 감소(20%이하).->소변 농축 능력의 저하, 다뇨증 (이로 인한 탈수)->
소변의 삼투질 농도 고정 (isosthenuria 등장뇨)-> creatinine↑ ,BUN↑, 요량↓, 체액↑ -> 요독증
GFR이 감소하고, 소변 생성과 수분 배설에 이상이 오며,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2) 대사변화
① BUN,creatinine등의 노페물의 축적
GFR이 감소하면서 혈중요소질소와 creatinine이 증가한다.
BUN은 신장 기능 외에도 단백질 섭취, 발열, corticosteroids 복용, 간 기능장애등이 있을때 증가하므로 혈중 creatininer과 신장의 creatinine 청소율이 더 정확한 신장 기능 평가의 지표가 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