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화점 (雙花店)
- 최초 등록일
- 2018.10.28
- 최종 저작일
- 2018.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의대생 (본인인증회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고전시가 교육론
목차
1. 작품 본문 및 배경
2. 주제
3. 작품에 관한 기존의 논의
4. 작품에 관한 견해
본문내용
雙花店(솽화뎜)에 雙花(솽화) 사라 가고신
回回(휘휘)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店(뎜) 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감 삿기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잔 티 거츠니 업다
三藏寺(삼장)애 블 혀라 가고신
그 뎔 社主(샤쥬)ㅣ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뎔 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간 삿기 上座(샹좌)ㅣ 네 마리라 호리라
(후렴)
드레우므레 므를 길라 가고신
우믓 龍(룡)이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우물 밧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간 드레바가 네 마리라 호리라
(후렴)
술 지븨 수를 사라 가고신
그 짓 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집 밧 나명들명
참고 자료
이종출 한국 고시가 연구 1989
조평환 외 <한국 고전문학 산책> 2004
신영명 쌍화점의 어조와 미의식 1994
쌍화점 형성에 관여한 외래적 요소, 김명준, 2006.
나정순 고려 가요에 나타난 성과 사회적 성격 2003
강명혜, 정운체 풍요로서의 노래 쌍화점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