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고려속요의 전반적인 성격을 맹아기, 발생기, 발전기, 쇠퇴기로 분류하여 분석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맹아기
(2)발생기
(3)발전기
(4)쇠퇴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속요’는 일반적으로 고려시대의 시가 가운데서 경기체가, 향가, 시조, 가사 등의 유의 속하는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우리말 시가 작품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학자에 따라서 고속가, 장가, 속악가사, 고대가요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명칭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여기서 ‘속요’란 민속가요를 줄인 말로, 속요라고 지칭되는 대부분의 가요는 궁중악의 한 갈래인 속악 악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민요를 궁중의 속악가사로 전용하는 과정에서 생성, 발전되어 갔다.
이러한 고려속요의 전반적인 특징을 세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특징은 고려가요는 구전성을 지닌다는 것이 그것이다. 상당수의 속요 작품들은 구전되어 오다가 문자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속요의 구전과정은 민간음악으로 존재하면서 노래로 불리던 향유과정과 고려 말에 宮中舞樂으로 수용되어 조선조에 이르러 문자로 기록되기 전까지의 향유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노래가 혼융되기도 하고 새로운 내용이 덧붙여지기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구전성은 원래 기록수단을 가지지 못했던 민중들에 의해 만들어진 민요나 설화 등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성격이기 때문에 속요가 구전성을 지녔다는 사실은 그 기원이 민간노래에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현전하는 속요를 보면 같거나 비슷한 내용이 여러 작품에 쓰이는 넘다듦이 많이 나타나거나, 상당수의 작품이 장으로 나누어지면서 렴이 쓰이고 있으며, 흥을 돕기 위한 조흥구 등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 속요가 민요의 구전성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알 수 있다.
두 번째 특징은 고려속요란 생활정서의 예술적반영물이라는 것이다. 속요의 성격으로 또 하나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삶 속에서 형성된 화자의 생활정서가 소박한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주로 정치적 이념이나 종교적 이념 같은 것이 전혀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화자가 생활 속에서 겪는 다양한 정서들이 직접적으로 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멀리 가서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는 남편에 대한 걱정, 님에 대한 그리움, 이별의 슬픔, 부모에 대한 사랑, 성에 대한 갈구 등으로 되어있는 속요의 내용은 모두 화자가 살아가면서 생활 속에서 자연적으로 겪게 되는 삶의 정서를 예술적으로 표현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국어국문학회, 고려가요·악장 연구, 태학사, 1997.
성호경, 고려시대 시가 연구: 체계적 이해를 위한 모색, 태학사, 2006.
송종흠, 속요 형식론, 박문사, 2010.
유종국, 「〈정석가〉의 편사에 대한 양식비평적 고찰」, 국어문학 43, 2007.
임현석, 「고려가요 <쌍화점>의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11.
장성진, <思母曲>의 의미와 변용, 문학과언어학회 Vol.20 No.1,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