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 우리나라 고전문학의 흐름을 총정리한 자료입니다.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최초 등록일
- 2021.04.09
- 최종 저작일
- 2021.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우리나라의 고전문학의 흐름을 총정리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시·고대의 문학
2. 고려 시대의 문학
3. 조선 전기의 문학
4. 조선 후기의 문학
본문내용
1. 원시·고대의 문학
가. 역사 속의 위치
(1) 선사시대부터 국문학이 태동하기 시작한 고려 시대 이전까지
(2) 우리 민족이 이 땅에 터전을 잡고 제천의식을 행하면서 점차 국가 사회를 형성하며 발전하던 시기
(3) 생활 습관, 정치, 사회제도, 사상, 예술, 과학 등이 형성되면 고유문화를 정착시킨 시기
나. 문학의 특징
(1) 원시 종합 예술(Ballad Dance)이 제천의식을 통해 나타남.
(2) 집단성 주술성을 띠던 것이 개인성, 서정성을 띤 것으로 분화해 감.
(3) 건국 신화를 비롯한 구비 문학이 출현하고 다양해짐.
(4) 최초의 국문 시가이자 개인 서정시라 할 수 있는 향가 출현.
(5) 한문학의 발달
다. 주요 갈래 : 건국신화, 향가, 구비문학, 한문학, 민요 등
라. 설화문학
(1) 정의 : 이야기 문학의 하나. 이야기를 듣는 사람의 이야기에 대한 믿음이나 인식에 따라 신화, 전설, 민담으로 구분되며 신화, 전설, 민담의 순으로 진행된다.
(2) 설화의 특징
(가) 발생이 자연적, 집단적이다
(나) 그 민족의 민족적, 민중적 생활 감정과 습속을 풍부히 담고 있다.
(다) 집단적, 민족적 상상력에 의지해 가장 원형적인 상상의 세계를 보여 준다.
(라) 후대의 소설 문학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 략>
2. 고려 시대의 문학
가. 역사 속의 위치
(1) 신라의 멸망 이후 조선이 건국되기까지의 시기
(2) 불교가 융성하고, 유교가 정치적, 문화적 원리로 자리 잡은 시기
(3) 내우외환이 겹치고 무신란이 일어나 역사적 전환이 있던 시기
나. 문학의 특징
(1) 향가의 쇠퇴로 경기체가 등의 귀족 문학과 고려 가요 등의 평민 문학으로 갈라짐
(한문학의 융성으로 향가 쇠퇴)
(2) 신라의 불교문화를 계승하였으며, 과거제도 실시로 한문학 융성
(3) 설화에서 발전한 패관 문학과 가전체 작품이 소설에 접근해감
(4) 시조, 가사가 발생하여 그 형식이 정제됨
(5) 내용이 향락적이고, 표현 면에서 진솔성과 소박성을 담고 있음
다. 주요 갈래 : 고려 가요, 경기체가, 시조, 한문학, 가전체 등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