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발발과 의의
- 최초 등록일
- 2018.08.17
- 최종 저작일
- 2016.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6.25 전쟁의 배경
2. 6.25 전쟁의 진행 과정
3. 6.25 전쟁의 정전 협상
4. 6.25 전쟁의 결과와 의의
본문내용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 공산군이 남북군사분계선이던 38선 전역에 걸쳐 불법 남침함으로써 일어난 한국에서의 전쟁. 6.25전쟁을 인터넷 검색창에 치면 나오는 것이다. 3여년에 걸친 한민족의 전쟁을 이런 한 문장으로 요약하는 것이 쉬운 것일까?
어쩌면 전쟁의 시작은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 후부터였을지도 모른다. 일본의 항복으로 제 2차 세계 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고, 우리는 광복을 맞이한다. 하지만, 광복의 감격과 각계각층의 건국 운동이 곧바로 자주 독립 국가의 건설로 연결되지는 못하였다.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이유로 미군과 소련군이 38도선 이남과 이북에 진주하여 군정을 실시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국과 소련의 분할 점령과 함께 우리 민족도 우익과 좌익으로 분열하기 시작했다.
이후, 전후 처리에 대한 협의를 위해 1945년 12월에 개최된 모스크바 3상 회의에서 한반도의 단일 민주 정부 수립의 필요성을 논의하여 미·소 공동위원회를 설치하고, 임시 정부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때까지 도와주며, 수립된 임시 정부와 미·소 공동위원회는 상호 협의 아래 최대 5년 간 신탁 통치를 시행할 수 있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결정짓는다.
하지만 이제 막 일제의 식민지에서 벗어난 우리 국민들은 신탁 통치를 둘러싼 갈등이 증폭되어 격한 좌우 대립으로 이어진다. 또한 미·소 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지만, 국내의 좌우 대립과 미국과 소련의 힘 싸움으로 인해 결렬된다. 이에 의해 임시 정부의 수립이 곤란해지자 김규식과 여운형은 좌우 대립을 넘어선 단일 임시 정부 수립을 위해 상호 협력할 것을 골자로 하는 좌우 합작 운동을 벌이지만, 이승만 등 우익 세력들은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주장한다.
중도 여운형이 피살되면서 좌우 합작 운동은 실패하고 미·소 공동위원회의 계속된 결렬로, 유엔에 한반도 문제를 상정하고, 유엔은 한반도에서의 정부 수립을 위해 인구 비례에 의한 총투표를 시행하기로 하지만, 북한 측에서 총투표 시행을 거부하면서 회담은 실패한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 625전쟁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33118&mobile&categoryId=200000329
625전쟁 60주년 사업위원회 / 디지털하동문화대전
http://www.koreanwar60.go.kr / http://hadong.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3400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