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의 유래와 특징 및 시장현황과 간장을 이용한 음식
- 최초 등록일
- 2018.01.05
- 최종 저작일
- 2015.01
- 3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간장의 유래와 이해
1) 간장의 정의와 어원
2) 간장의 기원과 전파
3) 간장의 종류
4) 간장 만드는법
2. 간장의 구성과 특징
1) 간장의 구성
2) 간장의 재료
3) 간장의 맛,색,향
4) 간장의 효능
5) 간장의 품질규격
3. 간장의 시장현황
1) 간장의 시장현황
2) 간장 브랜드의 비교 분석
3) 세계의 간장
4. 간장을 이용한 음식
1) 간장을 이용한 소스
2) 간장을 이용한 음식
5. 한식의 세계화
1) 한식의 세계화
2) 느낀점
본문내용
1.간장의 유래와 이해
1)간장의 정의
간장은 한국 음식의 맛을 내는데 중요하게 사용되는 우리 고유의 양념으로 약 17~20%의 소금을 함유하고 있다. 예부터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된장과 간장을 만들었는데, 메주를 소금물에 넣어 숙성시킨 뒤 건더기로는 된장을 만들고, 남은 장액으로는 간장을 만들었다. 간장은 음식에 따라 종류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국이나 찌개와 같은 국물음식, 나물과 같이 음식 재료 본연의 색을 살려야 하는 경우에는 국간장을 사용하고, 조림·볶음·찜·초 등과 같이 음식의 색을 내야 하는 경우에는 진간장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집에서 간장을 담그지 않고 공장에서 만드는 개량식 간장을 많이 사용하는데, 개량식 간장은 주재료인 콩에 쌀이나 밀과 같은 전분질 재료를 황국균으로 접종시킨 코지(Koji)를 섞어 만든 메주를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간장 [-醬] (두산백과)
<간장의 어원>
간장은 ‘음식물에 소금을 넣어 짠맛을 내다’라는 의미의 명사 ‘간’에 한자어 ‘장(醬)’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로 ‘소금을 넣어 짠맛이 나는 장(醬)’이란 뜻이다. 간장은 16세기 문헌인 《구황촬요》에서 ‘ᄀᆞᆫ쟝’이란 표기로 등장하여 18세기에 ‘간쟝’으로 변화하였고, 19세기에는 ‘쟝’이 단모음화되면서 오늘날의 ‘간장’으로 표기되기 시작하였다.
고문헌에 나타나는 간장의 또 다른 표기로 《음식디미방》의 ‘지령’과 《규합총서(閨閤叢書), 1809년》의 ‘지렁’이 있는데 이는 ‘짜다’는 뜻의 우리 옛말인 ‘자, 잗, 잘, 질’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도 서울(지럼)·강원도(지렁)·경기도(지령) 지역의 방언에서 이러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한자어로는 묽은 간장은 ‘수장(水醬)’, 햇간장은 ‘청장(淸醬)’과 ‘간장(艮醬 또는 干醬)’, 오래 묵혀 맛이 달고 색이 깊은 진간장은 ‘감장(甘醬), 진감장(陳甘醬), 진장(陳醬)’ 등으로 표기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간장의 어원 (두산백과)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