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정리자료
- 최초 등록일
- 2017.11.29
- 최종 저작일
- 2017.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문제중심학습
2. 상황학습이론
3. 구성주의 수업
4. 자원기반학습
5. 과학적 관리론
6. 인간관계론
7. 인간자원론
8. 겟젤스와 구바의 사회과정모형
9. 스타인 호프와 오웬스의 학교문화 유형론
10. 헬핀(A. Halpin)과 크로프트(D. Croft)의 학교풍토
본문내용
1. 문제중심학습
문제중심학습은 실제 생활과 관련된 비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력 및 관련지식과 기능을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문제중심학습의 장점으로는 실생활의 맥락 속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고등정신능력 함양이 가능하며 이와 관련된 창의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 등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있다. 그리고 문제중심학습이 이루어질 때 학습자는 수업에 능동적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므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중심학습은 교사가 독단적으로 학생들에게 문제상황을 제공해주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문제상황을 제공해주면 협동학습이나 토론학습을 통해서 조별 구성원들과 학생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2. 상황학습이론
상황학습은 실생활에서 다루어지는 실제적인 과제를 실제 사용되는 맥락과 함께 제시하여 지식이 일상생활에 적용되고 전이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황학습을 통한 교수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사는 실제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이 안에 존재하는 지식이나 내용은 그것이 사용되는 상황이나 맥락과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즉, 제공되는 상황이나 맥락이 학습내용과 깊은 연관성을 지녀야 한다. 상황학습이론은 구성주의적 학습방법에 의거한 교수학습이론으로 상황학습이론을 통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때 교사는 학습에 있어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하며 인지적 전략의 시연과 관찰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교사가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모델링을 통해 학습방식을 익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교사는 학생들이 주변 동료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상황학습이론은 구성주의적 수업방식 중 하나로 학생들 사이의 활발한 인지적 상호작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