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교육학 정리자료
- 최초 등록일
- 2019.01.30
- 최종 저작일
- 2019.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초우량 지도성
2. 도덕적 지도성과 문화적 지도성
3. 수퍼의 진로발달이론
4. 신교육 사회학
5. 역동적 평가
6. 피터스의 교육의 준거
7.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
8. 인간관계론, 인간자본론의 차이
9.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10. 스킬백의 학교중심교육과정
11. 프레이리 교육
12. 위인지학과 위기지학
13. 브론펜 브레너의 체계유형
14. 뒤르켐의 사회화
15. 파슨스의 역할사회화
16. 선행조직자
17. 앵커드 수업모형
18. 원격교육의 장단점
본문내용
1. 초우량 지도성
종래의 지도성이 권력과 권위 그리고 직원들의 통제를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비판하면서 직원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내적인 통제에 의해 생산적이고 성공적인 직무 수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장되어진 지도성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초우량 지도성이란 조직 구성원 각자가 스스로를 통제하고 자신의 삶에 진정한 주인이 될 수 있도록 자율적 지도력(self-leadership)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둔 지도성을 의미한다.
2. 도덕적 지도성과 문화적 지도성
도덕적 지도성은 지도자의 도덕성을 기반으로 한 지도성이다. 다시 말해, 지도자가 도덕적으로 감화를 발휘하여 구성원들에게 도덕적 문화를 제공해줄 때 조직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고 보는 이론이다. 반면 문화적 지도성은 구성원 각자가 지닌 가치와 의미추구욕구를 만족시킴으로써 조직문화에 대한 만족을 추구하는 지도성으로 조직의 제도적 통합을 추구하는 지도성을 의미한다.
3. 수퍼의 진로발달이론
인간의 자아개념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서 이루어지고 변화된다. 즉, 인간의 자아란 타협과 선택이 상호작용하는 일련의 적응과정으로 개인심리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달한다. 여기서 개인심리적 측면은 성격, 흥미, 적성, 욕구 등을 의미하며 사회적 측면은 노동시간, 사회, 학교, 지역사회 등을 의미한다. 수퍼는 개인의 진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바로 위에서 제시한 개인심리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으로 구분됨을 주장하였다. 그는 학교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자신의 자아를 찾고 진로에 대한 성숙도를 키워주어야 하며 직업환경에의 적응력을 기를 수 있는 상담이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진로상담의 최종목표를 직업선택으로 제한하면 안 된다고 보았는데 그 이유는 개인의 진로발달이란 전 생애 안에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과정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