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현장교사 네트워크 구축

"현장교사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내용입니다.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11.30 최종저작일 2015.03
10P 미리보기
현장교사 네트워크 구축
  •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장 체육수업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연구를 통한 지식과 정보의 생산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육교사들은 효율적인 교수수행을 위한 전문 지식과 정보 생산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지 않고 있다. 또 이론과 현장은 다르다는 이유를 들어 정보의 생산노력을 거부하면서도 현장에서의 전문적 책무성을 충실히 이행하지 않고 있다. 수업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방법지식, 교육과정지식 등의 교과전문지식(안양옥, 1995; Shulman, 1987)은 교사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중요요소이지만 교사들은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이처럼 체육교사들의 교수 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인식부족은 쉽게 ‘아나 공!’으로 대변되는 게임이나 자유 시간으로 체육시간을 소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체육교과목의 가치와 위상을 떨어뜨리는 동시에 교과목으로서의 정당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하고 있다(곽은창, 1998; 유태호, 1998).
    최근에는 체육수업 시수의 감소와 함께 어린이나 청소년의 운동기회 감소와 체력의 저하, 의료보험비의 증가, 건강 중심의 사회적 관심 등의 여러 가지 변화가 일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구태의연하고 태만한 학교체육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체육수업과 체육교사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이미 여러 체육학자와 교사들에 의해 제기되어왔다(곽은창; 1998; 곽은창, 박온서, 1998; 김광남, 1996; 손천택, 1996; 안양옥, 1995, 유태호, 1998; 이병준, 1996; 최의창, 1996).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도 불구하고 학교체육수업은 별 다른 개선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 동안 체육교사는 “속이 텅 빈”(이문용, 1998) 체육수업을 운영해 왔으며, 연구자는 현장의 실체를 이해하기보다는 이론중심의 연구를 수행하면서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 즉, 체육교사들은 이론을 “현장성이 없다”고 단정하거나(강신복, 1998),

    참고자료

    · 강신복(1998). 연구자와 현장교사: 만남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동계워크샵 논문집. 1-6.
    · 곽은창(1998). 고장난 학교 체육. 한국체육학회보, 72, 9-14.
    · 곽은창, 박온서(1998).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인식에 관한 주요사건기록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지, 5(2), 57-70.
    · 곽은창(2001). 체육교육 연구자와 현장 교사의 협력연구 네트워크 구축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 교육학회지, 8(1), 147-160.
    · 김광남(1996). 체육교사 이제 달라져야 합니다. 한국체육학회보, 64, 28-30.
    · 손천택(1996). 유능한 교사로 거듭나기. 한국체육학회보, 65, 25-27.
    · 손천택(1998). 현장개선연구를 통한 체육교사와 연구자의 만남.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동계워크샵 논문집. 13-20.
    · 유태호(1998). 교육의 위기와 체육교사의 전문성. 한국체육학회보, 72, 15-18.
    · 이문용(1998). 연구자와 현장교사: 만남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동계워크샵 논문집. 7-12.
    · 이병준(1996). 이론가와 실천가의 만남: 체육교육의 주체. 한국체육학회보, 65, 25-27.
    · 최의창(1996). 교사연구와 체육교사교육.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3(1), 1-20.
    · Almond, L.(1997). Reflecting on practice: A changing research role. Quest, 49, 394-402.
    · Bickel, W. E., & Harttup, R. A.(1995). Teachers and researcher in collatoration: Refelctions on the proces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2, 35-62.
    · Clark, C., Moss, P.A., Georing, S., Herter, R.J., Lamar, B. Leonard, D., Robbins, S., Russel, M., Templin, M., & Wascha, K.(1996). Collaboration as Dialogue: Teachers and researchers engaged in convers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 193-231.
    · Clift, R.T., Veal, M.L., Holland, P., Johnson, M., & McCarthy, J.(1995). Collaborative leadership and shared decision making: Teachers, Principals, and university professors.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 Giroux, H.(1998). Teachers as intellectual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Granby, MA: Bergin-Garvey.
    · Graham, G.(1991). The influence of teacher education on perspective development: beyond a custodial orientation. Quest. 43(1), 1-19.
    · Hollingsworth, S.(1992). Learning to teach through collaborative conversation: A feminist approach.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 373-404.
    · Johnston, M.(1990). Experience and reflections on collabor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3, 173-183.
    · Kirk, D.(1986). A critical pedagogy for teacher education: Toward an inquiry-oriented approach.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5(4), 230-246.
    · Lawson, H. A.(1990). Sport pedagogy research: From information-gathering to useful knowledge.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0, 1-20.
    · Lawson, H. A.(1992). Why don't practitioners use research? Explanations and selected implication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63(9), 36, 53-57.
    · Locke, L.(1992). Research on teaching teachers: Where are we now?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 1-86.
    · Pissanos, B. W. & Allison, P. C.(1996). Continued professional learning: A topical life history.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6, 2-1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