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은창(2001). 체육교육 연구자와 현장 교사의 협력연구 네트웍 구축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1), 147-160.
· 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조형미(2014). 공동체 단위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3(2), 201-217.
· 김송자, 맹재숙, 박수정(2013).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논총, 34(1), 227-247.
· 김중태(2010). 소셜네트워크가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 서울: 명경사.
· 서경혜(2008).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53-80.
· 서경혜(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 서경혜(2012). 예비교사들의 협력적 수업연구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133-161.
· 선우진, 방정숙(2014).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초등수학연구, 17(3), 189-203.
· 손천택(1996). 효율적인 수업운영과 학습자 관리: 학교체육의 이론과 실제. 인천대학스포츠과학연구소 세미나 자료집.
· 송경오, 최진영(2010). 초·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79-201.
· 신지혜(2011).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비평 공동체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9(2), 71-97.
· 안양옥(1993). 교사의 교과내용지식연구와 체육교육학 연구에의 시사점. 한국체육학회 국제세미나 논문집. 371-378.
· 오영열(2006).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변화 탐색: 수학 수업관행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6(3), 251-272.
· 유현숙(2002). 교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와 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19(3), 137.
· 이경호(2010). 전문가학습공동체 운영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미국 'Cottonwood Creek School'의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395-419.
· 이승배, 김택천, 박윤혁(2010). 초등교사의 체육교과 학습공동체 형성.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2), 101-125.
· 이제행(2013).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전문성과 지도가치신념 및 수업반성의 인과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33-47.
· 조영복, 김경원(2011).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이 직무성과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관리연구, 18(1), 87-110.
· 최진영, 송경오(2006).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따른 사회과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9(2). 217-239.
· 최승현, 황혜정(2007). 수학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학교수학, 9(3), 327-352.
· 최효영, 이성희(2010).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 443-455.
· Cochran-Smith, M., & Lytle, S. L.(1999). Relationships of knowledge and practice: Teacher learning in communitie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249-305.
· Dufour, R., & Eaker, R. 1998).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t work: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Bloomington, IN: National Education Service.
· DuFour, R.(2004). What i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Leadership, 61(6), 6-11.
· Habierman, M.(2004). Schools as learning communities. Educational Leadership, 61(8), 52-56.
· Hord, M.(2004). Learning together, leading together: Changing schools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Kruse, S. D., & Louis, K. S.(1993). An emerging framework for analyzing school-based professional communit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2-16.
· Murata, A., Bofferding, L., Pothen, B. E., Taylor, M. W., & Wischnia, S.(2012). Making connections among student learning, content, and teaching: Teacher talk paths i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5), 616-650.
· Senge, P., Cambron-Mccabe, N., Lucus, T., Smith, B. Dutton, J., & Kleiner, A.(2010). School that learns. New York: Crown Business.
· Stoll, L., & Louis, K. S.(200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Elaborating new approach. In L. Stoll & K. S. Louis (Ed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ivergence, depth and dilemmas (pp. 1-13). UK: Open University Press.
· Villegas-Reimers, E.(2003).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 international review of the literature. UNESCO: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