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미술 - 중세 시대, 초기 기독교 미술, 비잔틴 미술, 로마네스크 미술, 고딕 미술
*다*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중세미술의 일반 역사와 개념을 정리해 둔 것입니다.역사순에 맞추어 초기 기독교 미술, 비잔틴 미술, 로마네스크 미술, 고딕 미술을 정리하였습니다.
각 자료들은 RISS, NOSL,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각 부분들에 대한 참고자료도 모두 정리해두었습니다.
목차
I. 머리말1. 중세시대
(1) 암흑기
(2) 새로 조명되는 중세시대
(3) 중세미술의 위치
2. 초기 기독교 미술
(1) 그리스도교 미술의 의미
(2) 변화하는 그리스도의 모습
(3) 바실리카
(4) 회화의 사용
3. 비잔틴 미술
(1) 개관
(2) 비잔틴 제국의 역사
(3) 비잔틴 건축
(4) 이콘과 모자이크
(5) 그 밖의 형식들
4. 로마네스크 미술
(1) 개관
(2) 북방민족의 영향
(3) 필사본의 세밀화
(4) 로마네스크 건축
(5) 장식미술
5. 고딕 미술
(1) 개관
(2) 고딕양식
(3) 성당의 변화
(4) 조각과 회화
(5) 자연주의
II. 맺음말
본문내용
예술이 인간의 생활과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쳐 왔으며 앞으로도 그 역할이 크다는 면에서 우리는 그를 좀 더 깊고 넓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음악과 더불어 가장 큰 예술의 한 형태인 미술은 다양한 화법이나 작가들로도 교양을 쌓을 수 있지만, 고대부터의 역사와 함께 두고 보았을 때 조상들의 업적에 대해 더욱 큰 가치를 찾을 수 있다. 그런 의미로 미술사는 역사의 한 종류로 보기보다 미술의 또 다른 관점으로 보는 것이 현대 인간 문화의 형성에 더욱 크게 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현대의 극단적 종교주의자들로 인해 종교 자체에 반감을 가지게 되는 이들이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그들이 현대에 와서 종교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든 그로 인해 과거의 종교마저 무시하는 것은 잘못된 태도이다. 오히려 종교는 과거에 더욱 다양한 곳에 그 힘을 뻗쳤고 조상들의 문화에 깊이 녹아내려왔다. 그러한 것이 특히 드러나는 시대가 바로 중세시대이다.
인간 역사상 가치가 전혀 없는 시대는 없다. 설령 미술의 범위가 한정되게 하는 실수를 저지른 시대라 하여도 그는 종교적으로 발전되어왔다는 이중성을 띠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과거시대 속에 직접 자리 잡아 본 적이 없기에 역사 그 자체에 대해 경이로움을 표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세시대는 교회의 시대라는 이름으로 우리들의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다. 중세시대에 대해 아주 세밀하게 연구한 학자들도 중세시대가 온전히 찬란한 시대인가에 대해 현대인들에게 이야기를 하려면 매우 방대한 설득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미술사가 중세시대가 단지 종교적 시대임이 아닌 것에 대해 다양한 학자들의 이야기가 대두되고 있음에도 현대인들은 여전히 그를 황폐한 문화적 소실의 시기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성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태도는 천년의 역사 속에 산 조상들에 대한 예의이자 현대를 발전시키고 새로운 문화를 이룩해 가야할 의무를 가진 우리들에게 매우 중요한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태도를 기본으로 하여 빛에 가려진 중세시대의 긴 미술사를 암흑기에서 다시 꺼내본다.
참고 자료
서봉남, 『기독교미술사 』, 집문당, 1994.E. H. 곰브리치, 『 서양미술사 』, 예경, 1997
임영방, 『 중세미술과 도상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앙리 포시용, 『 로마네스크와 고딕 』, 까치 글방, 2004.
자닉 뒤랑, 『 라루스 서양미술사Ⅰ 중세 미술 』, 생각의 나무, 2007.
존 로덴, 『초기 그리스도교와 비잔틴 미술 』, 한길아트.
질 플라지, 『이미지로 보는 서양 미술사 』, 마로니에 북스.
토머스 F. 매튜스, 『비잔틴 미술 』, 예경
H. W. 잰슨 & A. F. 잰슨, 『서양미술사 』, 미진사.
헨드릭 빌렘 반 룬, 『한눈에 쏙 들어오는 서양 미술사 』, 2004.
김배정,「 죠르쥬루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성상화적 표현에 관한 연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4.
김익달 외,「유럽중세와 아시아의 발달」,『세계문화사3』, 1964.
Louis Reau, L'art du moyen-age et la civilisation francaise, Ed. Albin Michel, 1935.
아주선,「기독교정신을 근거로 한 한국현대공예 연구-종교적 상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6.
이정호,「그리스도교 미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초세기부터 중세 후기까지의 그리스도교 미술」, 1996.
최민영,「서양미술에 나타난 기독교 미술의 변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Karl Borromaeus Frank(1962),「 Fundamental Questions on Ecclesiastical Art 」, The Liturgical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