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의 유래와 인물분석
- 최초 등록일
- 2014.10.18
- 최종 저작일
- 2009.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춘향전의 유래
2. 성춘향의 모델은 남원에 역사상 실재했는가?
3. 춘향전 인물분석
4. 춘향전'이 인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높이 평가되는 이유
5. 주요 정신
6. '춘향전'의 표면적 주제와 이면적 주제
본문내용
춘향전의 유래
춘향전은 남원의 진사 조경남의 창작에서 시작되었다.
조경남은 57년간 걸쳐 일기 <산서잡록>으로 남겼고, 옛날과 당시의 설화를 모아서 <소견록>이란 고금설화집을 편찬하였고,<병옹자전>이란 자서전을 지은 다음에 제자의 일화형 전기를 <춘향전>으로 창작하였다.
이러한 <춘향전>을 모태로 하여 숙종 영조대 쯤 광대들의 소리극으로 가창된 것이 판소리 <춘향가>이다.
성춘향의 모델은 남원에 역사상 실재했는가?
이도령의 모델은 암행어사 성이성이다.
그는 부친인 성안의부사가 남원부사로 재임하다 그곳을 떠날 때 16세였고, 그 뒤에 두차례에 걸쳐 호남어사로 남원에 내려온 인물이다.
첫 번째 호남어사로 남원에 왔을 때에는 스승인 진사 조경남과 광한루에서 하룻밤을 보냈고, 두 번째 왔을 때에는 스승이 죽은 이후였기에 홀로 광한루에서 소년 시절의 추억에 빠지기도 한다.
그러나, 춘향은 실재하지 않은 인물이며, 더구나 춘향의 성을 성씨로 하여 ‘성춘향’이라 일컫는 것은 문학과 역사 현실을 혼동한 결과이다.
춘향전 인물분석
춘향전
인물 간 성격 분석
① 춘향
춘향은 중세기 평민여성의 고결한 도덕적 풍모를 체현하고 있다. 그는 용모가 아름다우며 예절 있고 재주가 있으며 마음 또한 깨끗하다. 하지만 그의 진정한 미는 굳은 정절과 고결한 도덕품성, 사람답게 살려는 정신에 있다. 춘향의 변학도가 수청을 강요하자 단호히 거절하며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 법이라 유부녀를 겁탈하는 것이 곧 죄악임을 주장하는데서와 어사출도 후에 이몽룡이 짐짓 어사수청도 마다하는 인물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