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경영전략][기업분석] 오리온 (구 동양제과)
- 최초 등록일
- 2013.11.11
- 최종 저작일
- 2013.05
- 3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기업 선정의 배경
Ⅱ.기업 분석
1)기업 소개 및 연혁
2)경영진 분석
3)주주 현황
4)조직 구조
5)외부 환경
Ⅲ.경영 분석
1)인사관리
2)재무회계
3)마케팅
Ⅳ.경영 전략
1)전략적 제휴
2)차별화
본문내용
Ⅰ.기업 선정의 배경
오리온이 과거 pepsico사와 협력관계를 맺고 현재는 사업 다각화를 통한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오리온그룹을 선정하게 됐다. 경영학원론의 이론들도 가장 폭넓게 알아볼 수 있는 제조회사이자 모회사를 기본으로 한 지주회사라는 점, 타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기준으로 현재까지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는 점이 가장 큰 선정이유이다.
Ⅱ.기업 분석
1)기업 소개 및 연혁
-제과 사업을 모태로 다양한 사업영위중인 실질적인 지주회사
경영이념
오리온 그룹은 한국에서 가장 사랑 받는 라는 목표로 ‘라는 Vision을 설정하고 이러한 Vision을 바탕으로 ‘Smart - 쓸 데 없는 일은 하지 말고 해야 할 일만 하자, Strong - 스스로를 강하게 하자, World Class - 세계적인 수준이 될 수 있게 하자’라는 세부적 항목을 정하여 회사 전체 운영에 적용하여 실천하고 있다. 또한 전사적으로 주어진 Mission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직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개개인의 역량개발이 곧 회사의 미래가치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직원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다.
<중 략>
이를 바탕으로 수익이 나지 않는 제품은 과감히 생산을 중단했다. 1996년 150여종의 제품을 생산하던 동양제과는 현재 80여종의 제품만을 생산하고 있다. 앞으로 50억원 이상의 수익이 예상되는 신상품만 출시하고 50여종 이하의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IMF 체제가 본격화된 1998년 동양제과는 매출액 4천2백51억원과 순이익 1백4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5% 성장하는데 그쳤지만 순이익은 44%가 성장했다. 이에 대해 동양제과 관계자는 “영업 매출의 80%를 15대 제품군이 차지하고 있다”며 “연간 1백억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제품을 집중관리 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같은 동양제과의 코아 브랜드 전략은 초코파이 같은 장수 히트상품을 개발하는 원동력이 되었고 판매관리비를 줄이는 계기가 됐다. 동양제과 자사상표 가운데 20%의 제품이 80%의 매출을 올린다는 코아 브랜드 전략으로 계속해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참고 자료
“(주)오리온”, 두산 백과사전(EnCyber&EnCyber.com) , 두산, 2008
조완제 기자, [조완제 기자의 재계 엿보기] 오리온 담철곤·이화경 부부CEO 체제 변화?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 경향신문, 2007
직접 CF에 출연해 화제 모은 오리온그룹 회장 담철곤?이화경 부부 우먼센스 , 2006
이은원, 오리온, 진정한 한류 열풍 컴퍼니 인사이드 , 2007
김민주, 초코파이 레드마케팅 레드마케팅 , 2002
[미디어웹] 미디어웹, 오리온 고래밥 PC방 이벤트 100일간 진행 연합뉴스 , 연합뉴스, 2007
이종태, 오리온의 차별화 전략 제과업체들 색깔 차별화 고객잡기 경쟁 , 1998
김일문 기자, 고래밥데이 이데일리 , 이데일리, 2007
이대현 기자, 복고마케팅, 매일신문 , 매일신문, 2004
김연주 기자, 문화마케팅, 제과업계, 이번엔 문화마케팅 , 조선일보, 2005
투유초콜릿 CF http://blog.naver.com/doolie38/90023139615
정광고캠페인 http://kr.blog.yahoo.com/whd87/611
한국신용평가정보 http://www.kisline.co.kr
오리온 홈페이지 http://www.orionworld.com
한국상장회사협의회 http://www.klca.or.kr
한국신용평가 http://www.kisrating.com
기업정보조회서비스 http://www.online.nice.co.kr
한국은행 http://www.bok.or.kr
통계청 http:// www.ns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