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기업 경영분석과 마케팅전략
- 최초 등록일
- 2012.05.08
- 최종 저작일
- 2012.05
- 3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소개글
오리온 기업 경영분석과 마케팅전략 분석보고서입니다.
목차
Ⅰ. 기업 선정이유
Ⅱ. 오리온 기업분석
1. 기업소개 및 연혁
(1) 기업 소개
(2) 기업 연혁
2. 경영진 분석
3. 주주 현황
4. 조직 구조
5. 외부 환경
(1) 실적과 전망
(2) 업계의 현황
(3) 시장점유율
(4) 시장의 특성
Ⅲ. 경영 분석
1. 인사 관리
(1) 인사제도
(2) 인재육성 & 경력개발
(3) 입사지원 / 채용
2. 재무회계
(1) 재무분석
(2) 3가지 부문의 기업분석
(3) 재무 분석 정리
3. 마케팅전략
(1) 컬러 마케팅
(2) 네이밍 마케팅
① 초코파이의 네이밍 마케팅
② 투유 초콜릿
(3) 광고캠페인 마케팅
① 초코파이의 ‘情’광고 캠페인
② 투유 초콜릿의 ‘사랑’ 광고 캠페인
(4) 데이 마케팅
(5) 부록 마케팅
① 치토스, 썬칩 ‘따조’, ‘한 봉지 더’
② 고래밥 ‘PC방 무료쿠폰’
(6) 복고 마케팅
(7) 문화마케팅
Ⅳ. 경영전략 분석
1. 전략적 제휴
(1) 동양제과(현 오리온)와 프리토레이의 전략적 제휴
① Pepsico사와의 합작 배경
② 양 사가 전략적 제휴를 맺은 이유
③ 전략적 제휴가 오리온에 끼친 영향
④ 전략적 제휴의 한계
⑤ 오리온의 전략적 제휴가 그 이후 자사에 미친 영향
2. 차별화 전략
(1) 메가박스
(2) 초코파이(코아브랜드 전략을 통해 동양제과가 적극적으로 키운 상품)
본문내용
이를 기존 어린이 대상의 한정된 이미지에서 전 세대를 망라할 수 있는 범 계층적인 이미지로의 전환시켰다.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 경시 현상과 도덕성 상실, 인간 고유 가치 상실 등이 팽배해지면서 사회는 각박해졌고, 이러한 현상들이 인간을 서로 소외시키며, 청소년 문제 및 노인 문제 등 사회전반에 걸친 문제들을 노출해 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오리온 초코파이 정(情)시리즈 광고는 한국의 정서(情緖)인 정(情)을 주제로, 내면적인 아름다움을 되살려 놓고 있다. 즉 휴머니즘을 강조하여 넘쳐나는 광고의 홍수 속에서 독특한 이미지를 구축해 성공적인 판촉 효과를 거두었다. 그것이 바로 초코파이 정(情)시리즈 광고다. 이 광고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Two-Way Communication)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Two-Way Communication을 할 때만이 정(情) 컨셉을 제대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 Two-Way Communication의 가장 큰 미덕은 소비자가 원하는, 소비자가 듣고 싶어 하는 얘기를 한다는 점이다. 또 초코파이의 경우, 제품 사이클이 긴 제품이라 제품의 이미지를 확실히 하고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제품 정체성(Identity)이 필요했다. 그래서 소재도 고마운 일을 하지만 무심히 지나쳤던 사람들, 예를 들면 집배원 아저씨나 역무원, 선생님 같은 분들에게 감사함을 전달하는 내용에서 찾기로 했다. ‘情’ 광고는 89년 초 겨울 시즌에 `선생님` 편이 방영되면서 시작되었다. 선생님 편은 장난꾸러기 학생과 선생님의 따뜻한 정을 표현하고 있다. 90년에는 이사 가는 날 편, 군대가는 삼촌 편, 할머니 편이 제작되었으며 91년에는 2편의 ‘情’ 시리즈 광고를 제작, 건널목 역무원 아저씨와 전학 가는 학생의 애틋한 사연을 담고 있다. 92년에는 ‘아빠 힘내세요’ 편과 오누이 정(情)을 그린 ‘소나기’ 편 그리고 집배원 아저씨에 대한 감사함을 그렸다. 그 이후로도 ‘정(情)’ 광고 캠페인은 계속되었으며, CM 송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를 통해 초코파이는 전 국민에게 따뜻한 파이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또한 초코파이의 광고에는 오리온의 담철곤 회장과 그의 아내 이화정이 직접 출연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오리온의 ‘情’ 광고는 말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닌 책걸상 바꿔주기 캠페인 등 사회적으로도 情을 실천하여 더욱 주목을 받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