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현상을 설명하는 기능이론, 갈등이론, 해석적 이론
- 최초 등록일
- 2013.06.12
- 최종 저작일
- 2012.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2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능주의 이론
2. 갈등주의 이론
3. 해석학적 이론
4. 기능이론, 갈등이론, 해석적 이론의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제물 주제 : 교육사회학
교육현상을 설명하는 기능이론, 갈등이론, 해석적 이론에 대해서 논하시오.
학번 :00000000 이름 : 0 0 0
Ⅰ. 서론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사회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학문이며 교육의 사회적 과정과 제도로의 성격을 설명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교육은 우리 사회를 떠나서 성립될 수 없는 것처럼 교육이론 역시 사회이론을 떠나서는 설명될 수 없다. 즉, 사회현상으로서의 교육을 기술, 설명, 이해하는 활동이다. 다시 말해서 교육에 관한 모든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며, 그에 관한 모든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여 그에 관한 지식을 쌓고 이론을 형성하려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이론은 사회과학의 대표적인 이론으로서 가장 먼저 발전되었고 이 이론에 근거 사회과학의 여러 학문분야의 많은 이론들이 등장했다. 갈등이론은 기능주의 이론의 대안으로서 발전되어 왔다. 갈등이론은 기능이론에 반발하여 나온 이론이다. 시작은 Marx와 Weber로 부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본 가정이나 주장 내용은 갈등이론과 완전히 일치하고 있지 않으며 갈등이론의 관점을 취하는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다. 기능이론은 사회가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에만 관심이 있을 뿐 사회에 존재하는 갈등에 무관심하기 때문에 사회현상이나 문제에 제대로 된 접근이 힘들다는 비판을 받고 있고, 해석학과 현상학이 사회과학 연구에 원용되면서 거시적, 구조주의적 관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미시적, 행위자 지향적 접근이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해석이론은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이 사회구조를 중시하는 것과는 달리 미시적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자연히 교육사회학에도 1980년대 해석적 접근이 하나의 조류를 이루게 된다. 그리하여 오늘날에는 기능주의적 접근, 갈등적 접근, 해석적 접근이 공존하면서 이론적 경쟁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거시적 접근에서 사회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한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미시적 접근에서 사회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한 해석이론
참고 자료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9.
김병성, 교육사회학 이론신강-거시·미시적 관련이론, 학지사, 2002.
교육사회학 강의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