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의 성인문해교육 발전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의 성인문해교육 발전과정을 정리한 보고서 입니다.
15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3.03.18 최종저작일 2012.06
15P 미리보기
한국의 성인문해교육 발전경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소개

    한국의 성인문해교육 발전과정을 정리한 보고서 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문헌검토
    1. 기능문해담론
    2. 비판문해담론

    III. 한국의 성인문해교육 발달과정
    1. 일제강점기 문해교육 (1919년-1931년)
    2. 해방 후 미군정기 성인문해교육 (1945년-1948년)
    3. 한국전쟁 이후 성인문해교육 (1954년-1958년)
    4. 산업발전시기의 성인문해교육 (1960년대 이후)
    5. 1990년 이후 성인문해교육

    IV. 논의 및 결론

    본문내용

    ‘문해(Literacy)란 문자를 해득하는 능력을 뜻한다(유성상, 2001). 문해 능력은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능력이며 교육에 참여함에 있어 기초가 되는 능력으로 개인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이자 더 나아가 사회(국가) 그리고 인간 발전을 위한 수단이 된다(이경아?변종임?박소연, 2007). 인간은 교육을 통해 능력을 개발하고 직업적 성취와 사회적 참여를 하며 궁극적으로 자아실현을 도모할 수 있기에 문해와 교육은 인간의 권리로서 인정되고 있다(윤복남, 1999). 다시 말하면, 문해교육이란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한 최소한의 능력을 갖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교육의 시작점으로 인간 성장의 출발점이 된다.’

    <중 략>

    민주주의와 공산주의가 대립해 있던 현실에서 각 진영에서는 문해교육에 주력하였다. 미군정의 후원 하에 한국인은 실질적인 운영주체로 문해교육을 주도적으로 펼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한글학회는 한글교재와 한글교사 양성에 주력하였으며 특히 한글 맞춤법을 통일하거나 가로쓰기 및 풀어쓰기와 같이 한글 활용을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 한편 성인교육국에서는 성인교육지도자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교육심리를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등 성인학습의 특성을 배려하려고 했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 일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위해 어린이 노동법을 제정하고 기업주로 하여금 교육환경을 마련하도록 촉구한 점을 들 수 있다.

    <중 략>

    따라서 문해교육이 학습자가 모이는 장소로서 기능하는 역할과 문해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해교육은 시대적?상황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에 맞게 지역의 상황, 거주민의 현황, 물적?인적 인프라 등을 파악하여 맞춤형의 문해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국가 차원에서는 문해교육이 실천수준에서 갖추어야 할 철학을 공유하고 소규모 단위의 문해교육 운영 주체가 소화해 낼 수 없는 문제들에 대해서 유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요구된다.

    참고자료

    · 김신일(1990). 비문해의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문해교육연구(1).
    · 김제태(1993). 문해 운동의 전개 과정과 민주문화 실현. 한국문해교육협회 편, 한국의 문해교육(pp. 31-50). 서울: 문음사.
    · 김종서 외(2001). 한국 문해교육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 문교부(1988). 문교부 40년사.
    · 변종임 외(2006). 성인 문해 정보화 교육의 전략 탐색을 위한 성과 분석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9(5), 13-29.
    · 손준종(2000). 정보사회의 문해 이해: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평생교육학연구, 6(1), 213-233.
    · 신미식(2010). 하나의 담론으로서 한국 문해교육의 비판적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55, 273-294.
    · 양병찬(2004). 학습권 관점에서 본 성인 문해교육 지원 정책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0(4), 207-230.
    · 오혁진&#8729;허준(2011).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17(4), 265-291.
    · 유성상(2001). 한국의 문해교육의 현황과 배경. 황종건 편, 격변하는 세계의 문해교육 문제: 국제 문해교육 비교연구(pp. 7-17). 서울: 아시아 태평양 교육발전 연구단.
    · 유성상(2009). 제 삼세계 문해교육의 사회&#8729;정치적 특성 분석: 브라질과 탄자니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9(3), 249-278.
    · 윤복남(1990). 문해교육의 개념과 기준. 문해교육연구(1).
    · 윤복남(1999). 외국의 문해교육 및 성인기초교육의 실천, 안암교육학연구, 5(12), 155-180.
    · 이경아, 변종임, 박소연(2007). 성인문해교육 지원 사업의 성과 분석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3(2), 119-139.
    · 이응호(1974). 미군정기의 한글 운동사. 서울: 성청사
    · 이응호(1975). 개화기의 한글 운동사. 서울: 성청사
    · 이지연(2004). 성인학습자의 문해교육 참여지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지혜(1988). 도시빈민여성의 사회교육참여기회와 요구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지혜(2003).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9(3), 57-74.
    · 이지혜(2011). 문해교육에서 ‘문해됨’의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17(3), 1-24.
    · 이희수 외(2000). 평생학습능력으로서 정보문해개념의 변천에 관한 고찰. ANDRAGOGY TODAY, 3(2), 117-212.
    · 이희수 외(2002). 한국성인의 비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CR2002-49.
    · 이희수, 박현정, 이세정(2003). 한국 성인의 문해실태와 OECD 국제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13(2), 193-217.
    · 채재은(2005). 미국의 성인문해교육 지원체제 분석과 시사점. 평생교육학연구, 11(1), 1-22.
    · 천성호(2009). 한국의 야학운동사. 서울: 학이시습.
    · 최민호, 정지웅, 김성수, 임상봉(1989). 한국농촌여성의 문해수준.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1(1)
    · 최운실(1989). 산업화와 문해:
    · 최운실, 최돈민, 백은순(1989). 한국의 문해실태조사연구: 1차년도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89-12.
    · 최운실, 백은순(1990). 한국의 문해 실태와 문해교육,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90-14.
    · 한국문해교육협회(2005). 한국의 문해교육, 서울: 문음사.
    · 한숭희(1997). 성인문해의 문화담론적 분석. 사회교육학연구, 3(1), 1-36.
    · 황종건(1978). 한국의 사회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황종건(1990). 문해 운동의 역사와 전망. 문해교육연구(1).
    · 황종건&#8729;윤복남&#8729;이지혜(1987). 한국도시여성의 문해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사회교육협회
    · 허만길(1994). 1950년대 한국 군대의 문맹 퇴치 활동. 한글새소식, 제262호-글62호
    · 허준(2008). 학습사회론에 비추어 본 문해교육 법제화의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14(4), 57-81.
    · Kaestle, C. F. (1985). The history of literacy and the history of reader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12, 11-53.
    · MEST & NILE(2008). CONFINTEA VI National Report of Republic of Korea: The Development and State of the Art of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AL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 UNESCO(2000). The EFA 2000 assessment country reports: Republic of Korea. http://www.unesco.org/education/wef/countryreports/korea/contents.htm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