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
- 최초 등록일
- 2012.12.15
- 최종 저작일
- 2012.12
- 22페이지/
압축파일
- 가격 1,000원

소개글
PPT와 발제문이 통합된 압축파일입니다 발표나 과제 제출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구한말의 교육
1)국가 주도의 교육
2)선교사 주도의 교육
3)민족 선각자 주도의 교육
2. 일제 강점기의 교육
1) 제 1차 조선교육령시기의 교육
2)제 2차 조선교육령시기의 교육
3) 제 3차,4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
3. 방정환의 교육사상
1) 이론적 배경
2) 방정환의 교육적 의의
본문내용
1.구한말의 교육
우리나라의 근대교육은 1880년대 구미제국과 통상조약을 맺음으로써 시작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갑오개혁은 우리나라의 교육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혁한 계기가 되었고, 1895년에는 관립 한성 사범학교와 장동소학교 등이 설립되었으며, 1899년에 경성의학교가, 1906년에는 한성고등학교가 설립되었습니다. 갑오개혁을 전후한 개항은 우리나라 교육제도를 현대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근대 교육은 크게 국가 주도의 교육, 선교사 주도의 교육, 민족선각가 주도의 교육 등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국가 주도의 교육
갑오경장을 전후로 조선정부는 교육을 전담하는 부서인 학무아문을 설치하고 고종이 직접 교육입국조서를 발표하여 근대적 교육이념에 입각한 교육을 국가교육의 근간으로 정립하였습니다.
조선정부는 먼저 1985년 4월 한성사범학교관제를 제정하고, 1905년까지 각 급 학교의 관제와 규칙을 제정, 공포하여 근대적 신교육제도를 수립하고자 하였습니다. 이 시기에 제정된 관제와 법규로는 한성사범학교관제, 외국어학교관제, 성균관관제, 소학교령, 한성사범학교규칙, 성균관 경학과규칙, 소학교규칙대강, 의학교규칙, 중학교관제, 상공학교관제, 외국어학교규칙, 중학교규칙, 광무학교규칙, 농상공학교관제, 관립농상공학교규칙 등이 있습니다. 이 시기 설립된 근대공립학교의 종류와 성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 략>
2) 방정환의 교육적 의의
교육적 의의를 구체적으로 보시면
첫째, 어린이는 하늘이다.
둘째, 어린이의 세계는 성인의 세계와 다르다.
셋째, 존댓말을 써라.
넷째, 기쁨 속에 자라게 하라.
다섯째, 자유롭게 활동하게 하라.
여섯째, 동화를 많이 들려주어라.
일곱째, 동요를 짓게 하고 부르게 하라.
여덟째, 그림을 마음대로 그리게 하라.
아홉째, 건전한 소년단체 활동을 하게 하라.
열째, 우리 민족과 문화를 생각하게 하라고 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없음
압축파일 내 파일목록
구한말의 교육 발표 최종본.pptx
교수님 발제문.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