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간호역사 학습요약정리 보고서 (족보, A+과제, 간호학개론)
*지*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조선시대 간호1) 의녀제도
2. 구한말 간호의 교육과 발전
1) 구한말 의료기관
2) 개항기 선교간호사들의 간호활동
3) 개척기 선교간호사가 초기 한국간호에 미친 영향
4) 구한말 간호교육의 특징
3. 일제강점기 (1910~1944년) 간호
1) 선교식 간호와 일본식 간호의 특성 비교
2) 공중보건 간호활동
3) 간호지도자 업적
4) 조선간호부회 조직적 활동
4. 미군정시대 간호
1) 미군정시대 간호사업국의 활동
2) 미군정시대 간호교육제도의 변화
3) 미군정시대 조선간호부회의 활동
5. 정부수립 이후 간호
1) 정부수립 이후 간호사업 행정조직의 변화
2) 정부수립 이후 군간호단 활동 분석
3) 정부 수립 이후 대한간호협회 활동
6. 한국전쟁과 전 후 복구기 간호
1) 한국전쟁이 간호사업에 미친 영향
2) 1951년 국민의료법 제정에 따른 간호계 변화
3) 한국정쟁 이후 복구기의 간호교육제도 변화
7. 한국간호의 성장기
1) 1962년 의료법 개정이 간호제도에 미친 영향
2) 1974년 의료법 개정이 간호제도에 미친 영향
3) 간호 성장기의 대한간호협회 활동
4) 간호 성장기의 간호교육제도 변천과정
8. 한국간호 발전기와 비약기
1) 간호교육제도의 변화
2) 대한간호협회의 다각적인 활동
3) 의료법 개정에 따른 간호의 변화
4) 전문직 간호제도 변화에 따른 간호영역 확대
5) 한국간호과학회의 활동
6) 정우회와 간호사 정치 참여
7) 한국간호평가원의 활동
9. 간호 관련 국제조직
1) 국제간호협의회(ICN)의 역사 및 소개, 주요 업무 및 기능
2) 세계보건기구(WHO)의 역사 및 소개, 주요업무 및 기능
3) 국제적십자사의 설립목적, 주요 업무 및 기능
본문내용
1. 조선시대 간호1. 의녀제도
조선은 기존의 남자의원에게 여성들이 진료를 받는 것조차 허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새롭게 여성 의료인을 양성화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 의녀의 신분
의녀의 양성 대상은 관비 신분의 동녀였다. 이는 사회계층이 천민이라 남녀유별법에 얽매이지 않고, 남성 의원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신분상 국가에서 인력수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2) 의녀의 교육
의녀의 교육내용은 맥경, 침구술 등 의술과 천자문, 효경, 정속편 등의 기본 소양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의녀로서 기술 외에도 탁월한 업무수행과 윤리의식, 도덕성을 중시하였다.
3) 의녀의 활동
의녀는 주로 진찰, 침구, 명약, 간호, 조산 등 다섯 가지 활동을 했다. 왕족이나 사대부집안의 여성을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시행하였으며, 주로 산부인과적 치료와 간호에 종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에는 역할과 업무가 변질되어 연산군대에 이르러 의술과 전혀 관련이 없는 궁중과 사대부 여성의 범죄와 관련된 몸수색과 신체검사등 감찰업무를 하기도 했다.
2. 구한말 간호의 교육과 발전
1. 구한말 의료기관
1) 내부병원
1899년 대한제국 정부는 광제원을 설립하였다. 전염병자 구료 등을 담당하도록 구상되었으며 한약과 양약을 병용하였다.1907년 대한의원이 설립되면서 여기에 통합되었다.
2) 개항지 일본병원
우리나라에 서양식 병원이 맨 처음 설립된 것은 1878년 부산에 설립된 제생병원이다. 그 후 1881년 원산에 생생의원, 1884년 인천에 영사관 부속의원, 1898년 목포에 공립병원, 남포에 전남포병원 등이 설립되었다.
3) 일본 거류민 병원
일본이 조선 내의 민심유화정책의 일환으로 1906년 평양과 대구에, 1907년 용산에 동인의원을 설립하였다. 이들은 광주를 비롯한 도시에서 자혜의원, 도립의원, 의학전문 부속병원으로 전환되었다.
4) 제중원
1884년 장로교회 선교사 의사인 알렌 부부가 조선에 왔다. 그리고 그 해 12월 갑신정변으로 수구파 민영익이 치료되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알렌은 미국공사관을 통해 조선 정부에 병원설립을 제의하였고 1885년 왕립병원 ‘광혜원’이 개원되었다.
참고 자료
간호학개론, 현문사, 2020년, P169 ~ P259조선인보다 더 조선을 사랑한 벽안의 여인, 서서평 선교사 / 한국기독공보
http://www.pckworld.com/article.php?aid=6458543649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대학 소개 /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홈페이지
http://nursing.jnu.ac.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3414&siteId=nursing&menuUIType=sub
“한국 간호사, 간호 중요성 밝혀 경의 표한다.” / Yakup 뉴스 기사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4&nid=241853
간호학개론, 수문사, 2017년, P96, P276~P285
PPT자료, 조선시대 및 근대(구한말 개항기/일제강점기) 간호파일, 해방직후 한국전쟁 전후 복구기 및 성장기 간호파일, 한국 간호발전기와 비약기 간호, 간호 관련 국제조직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