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론] 생활예절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많이 퍼 가세요~~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마음가짐
Ⅲ. 몸가짐
Ⅳ. 몸가짐의 예절
1. 서는 자세
1) 기본 자세
2) 상하석의 기준
2. 앉은 자세
1) 바닥에 앉을 때
2) 의자에 앉을 때
Ⅴ. 인사예절
1. 인사하는 자세
1) 경례
2) 목례
3) 악수
Ⅵ. 절
1. 가례집람에 나타난 배례
1) 차수법
2) 지읍법
3) 전배법
4) 읍례법
5) 배례법
2. 현대의 절
1) 공수법
2) 큰 절
·남자의 큰절
·여자의 큰절
3) 평 절
·남자의 평절
·여자의 평절
Ⅶ. 마치면서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예절의 목적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그 첫째는 개인적 차원엣 개인이 스스로의 노력으로 자기 내면의 관리를 통해 修身(修己)에 도달함이며, 둘째는 대인적 차원에서 개인이 대인관계를 원만히 영위하여 治人을 이루어내 공동생활을 조화롭게 함이다. 따라서 修身의 예절은 예절이 자기 안에 있으면서 자기 자신에게 작용하여 대내 대자적으로 기능 하는데, 이때의 본질은 정성스러운 마음이 된다. 이것은 홀로 있을 때라도 스스로 삼가는 마음가짐이며, 자기 자신에게도 속임이 없는 내면의 실제적인 양심을 가리킨다. 治人의 예절은 바람직한 인간간계를 갖기 위해 자기에게 작용하던 예절을 남에게 표현하는 것으로 대외대타적으로 기능 하는데, 이때의 본질은 상대방을 공경하는 것과 사랑하는 것이다. 이것은 남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安人으로 이루어지며, 웃어른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는 올바른 치인의 예절은 궁극적으로는 인류애에 도달하게 된다. 일상생활 속에서 예절의 본질인 자기 내면의 정성스러운 마음이 밖으로 나타남에 있어 공경과 사랑이 담긴 언어나 행동으로 표현되어야 참 예절이라고 할 수 있다. 만일 예의 마음 보다 밖으로의 행위(격식)가 더 크면 그것은 虛禮(虛飾)가 되고, 만일 마음만 있고 밖으로의 행위가 예에서 벗어나면 失禮가 되며, 예의 마음도 행위도 없다면 그것은 無禮가 된다. 그러므로 예절은 마음과 행동이 일치되어 정성, 공경, 사랑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예 론 - 조기홍 박경자외 공저 -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예절의 기본틀 - 류탁영편저 - 석정출판사
생활예절 - 박연차 남성희 공저 - 학문사
실천예절개론 - 김득중 - 교문사
예절학 - 남상해 - 한영사
http://www.ye365.or.kr/frame_ye.html
http://www.yejiwon.or.kr/ye/yeji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