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사탕
- 최초 등록일
- 2002.10.30
- 최종 저작일
- 2002.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박하사탕을 보고 나서의 느낌과 줄거리 그리고 주인공 심리에 중점을 두고 쓴글이에여
목차
없음
본문내용
영호는 사회적 적응에서 실패한 전형적 인물이라고 본다. 스트레스 원을 제거하거나 극복하기 위한 또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즉, 억압적 권력과 시대의 공포 속의 희생자인 영호는 그 상황의 극복하기 위하여 공격적 행위를 선택한다.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자신의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성향을 발견하고 고문 경관 시절 운동권 학생들을 잔인하리만큼 고문을 한다. 그것이 사회적, 도덕적으로 옳든 옳지 않든 영호가 그 사회에 적응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 방법도 얼마 가지 못해 모든 것을 부질없이 생각하고 삶의 의욕조차 상실한 영호는 순수의 상징 순임의 죽음으로 자살하게 된다. 순임의 죽음은 곧 순수의 끝이요, 영호의 의식 속에 살아있는 가장 깨끗하고 순수했던 모습으로 되돌아가고 싶은 희망 또한 사라져버린 것이다. 마지막으로 적응하기 위한 방범으로 영호는 죽음을 선택한다. 스트레스 원으로부터 신체적. 정서적으로 스스로를 제외시키는 행위 즉 철회 행위를 통해 영호는 부적응을 통한 결말을 보여준다.
인생은 한 사람이 태어나서 단 한번 겪는 것이며 단 한번 주어진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