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박하사탕 분석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9.10.08
- 최종 저작일
- 2017.03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감독이 누구인가?
1.감독이 이 영화를 만든 의도
Ⅱ. 영화의 시대적 배경
Ⅲ. 주요 등장인물
Ⅳ. 영화의 줄거리
Ⅴ. 영화 속에 나타난 사회문제와 사회적 이슈
1.문제의 정의
2.현황과 실태
3.원인과 문제점
본문내용
1. 감독이 누구인가?
감독 이창동은 1954년 4월 1일 출생하여 대표작으로는 버닝(2017) , 싱글라이더(2016) , 우리들(2015) 등이 있다. 2011년에 47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경북대학교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사 시절인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부문에 소설 '전리'가 당선돼 등단했다. 부인은 MBC TV 인기 드라마 '고백'과 특집극 '눈먼 새의 노래' 등을 집필한 방송작가 이란 씨이다. 12년간 주목받는 소설가로 손꼽혔던 그는 '운명에 관하여' '녹천에는 똥이 많다'로 각각 이상문학상 우수상과 한국일보 문학상을 받는 등 문학적 역량을 인정받았다.
1993년 박광수 감독의 <그 섬에 가고 싶다>에 각본과 조감독으로 참여하면서 영화계에 입문했다. 1995년에는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의 각본을 써 그해 백상예술대상 각본상을 수상했다. 이어 96년, 문성근, 명계남, 여균동 등의 도움으로 자작시나리오 <초록물고기>로 감독에 데뷔했다. 도시화와 근대화의 어두운 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이 영화는 박광수 영화로부터 이어진 리얼리즘 정신과 장르적 완성도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며 1997년에 제작된 가장 뛰어난 한국영화 중 하나로 꼽힌다. 그해 백상예술대상 작품상신인감독상 각본상과 영화평론가상 작품상, 대종상 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 청룡영화제 최우수작품상 등 국내 주요 영화제를 휩쓸었으며 캐나다 밴쿠버 영화제에서 용호상을 받는 등 20여 개의 해외영화제에 초청받기도 했다. 제4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 작품으로 첫 소개된 그의 두번째 영화 <박하사탕>은 군사독재 시대의 어두운 면을 들춰낸 작품으로 카를로비바리 영화제에서 심사위원특별상을 수상했고 칸 영화제 감독주간에 초청됐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