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득용, 기독교 교육 심리학, (서울: 한국 복음 문서 선교회, 1973).
· 2. 김현수 역, 「인터넷 중독증(Caught in the Net)」, 나눔의 집, 2000.
· 3. 김영환 외, “음란물의 법적규제 및 대책에 관한 연구-포르노르래피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책-”, 형사정책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7년 봄호.
· 4. 김기원, 청소년 자아 정체감과 자살행도의 관계 연구, 경기대, 1999.
· 5. 김서택, 「 아름다운 청소년 사역」, (서울:예찬사, 2002).
· 6. 김희성, 「청소년 상담을 어떻게 할까」, (서울: 목회와 신학,122호 1999년 8월)
· 7. 김형태, 「기독교 교육의 기초」 (서울: 대한 예수교 장로회 교육부,2003).
· 8. 대전서중. 고연합회, “청소년 문화”, 공동체 학습 자료실,(대전서중, 고 연합회,1989).
· 9. 동아일보 사회면. 2005.07.02
· 10. 민영순 「발달 심리학」 (서울: 교육 출판사,1997).
· 11. 목회와 신학 편집, 「십대 청소년 목회론」 (서울: 두란노,2005).
· 12. 문화일보 사회면, 2005.09.22
· 13. 박아청, 오늘의 청소년 문화와 신앙교육, (복음과 교육 1992, 가을호).
· 14. 사미자,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교회와 청소년 지도」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91).
· 15. 송종국, 청년 심리학, (서울: 형설 심리학 1984).
· 16. [사회연구] 2001년 가을 통권 제2호.
· 17. 세계일보. 2005.10.16.
· 18. 임역식, 한상철 ⌜청소년 심리의 이해⌟, 학문사.
· 19. 안병환,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 20. 이재창, 한국 청소년을 위한 정책과제와 방향,(청년 연구5집 1982).
· 21. 이춘재 외, 청년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 1993).
· 22. 오인탁, 울리히 헤르만 공저 현대 교육 철학의 전망, (서울: 교육과학사,1982).
· 23. 오영재, 청소년 목회상담 방법으로서의 성장 상담, (장로회 신학 대학원 1991).
· 24. 임은미(2000) : 청소년의 사이버 중독.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춘계학술대회. 서울,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 25. 은준관, 「교회, 선교, 교육」(서울: 전망사,1982).
· 26. 윤재희,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 각추구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27. 왕현성,“한국 교회 교육에 대한 비판적 연구”,(기독교 교육 석사 학위, 연세 대학교 연합 신학 대학원,1997).
· 28. 윤태림, 「청년 심리학」(서울: 법무사,1981).
· 29. 전대양, “신종미성년자 매매춘에 관한 연구”, 민생치안, 민생치안연구소, 2003년 가을호.
· 30. 전대양, “사이버상의 불건전 정보실태와 대응방안”, 민생치안, 민생치안연구소, 2001년 봄호.
· 31. 제주일보. 2005. 06.22
· 32. 총회남산선교 지도 위원회 편, 「교회와 청소년 지도」(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출판사,1991).
· 33. 최경구,“청소년 약물남용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한국처오년학회』,1994.
· 34. ⌜청소년 문제⌟, 박희석, 광주심리상담 센터
· 35. ⌜파울러의 신앙발달⌟
· 36. 한완상, 「한국 교회 이대로 좋은가?」 (서울 :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2).
· 37. 한국일보. 2005.10.06
· 38. ⌜현대인의 정신 건강⌟ 장연집, 박경, 최순영 공저.
· 39. M.E.sodeholm,「학생을 이해하려면 제3권」, 양은숙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2).
· 40. M.E. sodeholm.op.cit. 16-23.
· 41. Marvin J. Taylor,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송광택 역, 『기독교 교육학』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82).
· 42. S. Kiesler, J. Siegal & T. W. McGu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