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희곡과 비평을 조사하여 작가 작품별로 빽빽히 적었습니다.(포인트 8-9) 에이뿔 받은 것을 복사본으로 만든 건데..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新연극사는 신문학의 탄생(육당 최남선의 <海에게서 소년에게>-신체시)과 그 때를 같이함(1908. 11 이인직의 <은세계>-신소설연극, 圓覺社에서 상연) 그러나, 희곡이 무대상연을 전제로 하는 문학이라면, <不孝天罰>(1911年 林聖九가 창단한 극단(革新團)에 의해 공연)을 첫손으로 꼽을 수 있음
이 후 약 10년간 신파극의 발아기이자 개화기였음. 그러나, 진정한 의미로서의 창작 희곡은 아님.
-대부분의 작품이 일본 신파 연극을 번역, 번안 또는 일본소설을 각색."연극행위는 있었을지 몰라도 희곡문학의 발아기로는 아직 그 시기를 얻지 못했다"
1920년대 비평문학
1. 초기의 작품평과 논쟁
1) 黃錫禹 대 玄哲의 논쟁
1910년대의 비평은 문학에 대한 계몽적인 설명과 소개라는 초보적인 형태에 그치고 있음. 이와 달리 20년대의 비평은 창작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작업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곧 논쟁을 일으킴. 현진건이 상해에서 돌아와 첫 작품으로 <犧牲花>를 <개벽>지에 발표하고 나서 황석우의 무자비한 비판을 받음. 이같은 극단적인 혹평이 있자 현철은 <비평을 알고 비평을 써라>(1920.12.<개벽>)하며 반론을 제기 황석우는 <주문치 아니한 시정의를 알려주겠다는 현철군에게>(1921.1.<개벽>)으로 반론에 대한 반론 제기.
-이러한 말다툼에 나타난 비평의 형태
A. 비평을 자기의 고유한 활동 장르로 의식한 사람. 다시 말해서 비평가가 따로 없었음.
B. 그만큼 비평작업 자체가 장르별로 분화되기 이전의 미숙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음.
C. 비평작업에 있어서의 질서도 확립되지 않았고 비평용어가 원색적인 것이 특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