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터뷰 내용도 있으니깐 참고 하시기 좋으실 겁니다.목차
논문개요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인사동 지역의 개관
1. 인사동 지역의 변천사
1) 인사동의 변동
2) 오늘날의 인사동
2. 인사동 지역의 의미 및 가치
1) 역사적 가치 - 전통적 도시공간 조직
2)문화적 가치 - 전통문화 용도 밀집
3) 경제적 가치 - 문화관광자원 (전통의 상품화)
3. 인사동 지역의 문제점
1) 전통도시구조의 파괴
2) '차없는 거리' 행사
3) 종로구청과 상인, 시민들의 역할부재
Ⅲ. 인사동 지역의 전통문화거리 보존운동
1. 지방자치제 중심 - 종로구청, 서울시정개발연구회
1) 주체
2) 활동내용 및 문제점
3) 향후 활동계획
2. 주민조직 - 인사전통문화보존회
1) 주체
2) 활동내용 및 문제점
3) 향후 활동계획
3. 관련 시민단체 - 도시연대
1) 주체
2) 활동내용 및 문제점
3) 향후 활동계획
4. 개인 - 임옥상
1) 당신도 예술가 - 인사동의 거리 미술 이벤트
2) 인사동 지역의 문제점
Ⅳ.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앞으로의 발전방향 제시
본문내용
논문개요論語의 爲政篇을 보면 '溫故而知新(온고이지신)'이라는 말이 있다. 옛것을 익힘으로써 그것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과 도리를 발견하게 된다는 뜻이다. 즉 새로운 것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옛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말로 전통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오늘날과 같이 매우 빠르게 급변하고 있으며 물질만능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옛것은 잊어버리고 새것을 받아들이려는 것이 마치 진리인 듯 보인다. 하지만 과거가 없으면 현재가 없듯이 전통이 없는 새로운 것은 없을 것이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정신없이 돌아가는 현대판 도시인 서울에서 전통의 거리로 거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인사동의 변모를 살펴보고 최근 변화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보겠다. 그리고 인사동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자 하는 운동을 3축으로 나누어-종로구청(지방자치제), 인사전통보존회(상인중심의 주민), 도시연대(시민) 운동의 활동내용과 그 방향 및 문제점을 인터뷰를 토대로 한 자료로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시민이 중심이 되는 전통문화거리 보존운동이 우선되어야 함을 논의하고자 한다.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인사동의 역사와 현재의 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사동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전통문화거리 보존운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지방자치제, 상인중심의 주민들, 그리고 시민연대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참고 자료
김혜란, 1999, 『서울 인사동지역 우세점포용도의 변화 해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김진, 1999, 『지역재부흥기제로써의 문화이벤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인사동의 '차 없는 거리행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변성환, 2000, 『서울 인사동지역 상점의 외관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성주인, 2000, 『인사동의 장소상품화에 대응한 정체성 운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인사동 거리 활성화 방향과 과제에 대한 조사연구』, 1997, 도시연대 제 1회 전국 워크숍 『걷고싶은 도시 만들기와 주민참여에 대하여』, 1999, 도시연대
『걷고싶은 거리만들기 사업평가 연구 - 종로지역 3개 가로를 중심으로』, 1999, 도시연대
인사동 역사문화 탐방지도 『인사동 살펴보기』, 2000, 도시연대
김형수, 1998,『인사동지역의 관광자원화 방안』- 문화도시 문화복지 vol.46(pp.44-48),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이두엽, 1999, 『인사동에 열 개의 작은 박물관을 만들자』- 풀씨(겨울), 풀꽃세상을 위한 모임
<참고 관련 인터넷 사이트>
서울시정개발원 http://www.sdi.re.kr/insadong/
인사전통문화보존회 http://www.insadong.org/
도시연대 http://www.dos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