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창의성 교육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 론
1. 창의성 개론
가. 창의성의 개념
나. 창의성 프로그램 조건
다. 관련 기능
라. 관련 성향
Ⅱ. 창의성 교육
1. 창의성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
가. 창의성교육의 필요성
나. 창의성교육의 중요성
2. 창의성 교육의 창의 기법
가. De Bono 의 사고 기법
나. 브레인 스토밍(brainstorming)
다. 브레인 라이팅(Brain writing)
라. 체크리스트(스켐퍼: SCAMPER)
마. 연상법(association)
바. 속성열거법(attribute listing)
사. 형태분석법
아. 기타
Ⅲ.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1. 창의성 키우기 프로그램
가. 민감성 키우기
나. 유창성, 융통성키우기
다. 상상력, 유창성활동
라. 정교성, 독창성키우기
2. 음악영역의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가. 음악 교육에서의 창의성과 상상력
3. 놀이중심 음악교육 프로그램
가. 놀이중심 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나. 놀이중심 음악교육 프로그램 내용
4. 놀이중심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의 효과
Ⅳ. 결론
본문내용
창의성에 관한 정의는 창의성을 연구하는 학자들만큼이나 많다. 아이젠크는 창의성을 '새로운 관계를 보는 능력, 비범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그리고 전통적인 사고 패턴에서 일탈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고, Olsan은 '사람들 개인에게 있어서 가치가 있는 새로운 생각'을 창의성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창의성 학자들이 연구한 바에 의하면 창의성의 다양한 의미들 가운데 공통적, 핵심적으로 지칭되는 것은 '새로움'이다. 창의성은 모든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지닌 본능으로 이러한 본능은 처음엔 우리들이 생활의 문제를 표현하고 해결하는데 사용된다. 창의성은 모든 사람의 감정과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감각 및 지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것은 어린이들이 놀고, 모이고, 경험하고 그들의 양식대로 환경을 해석하는 모든 곳에서 발생한다. 즉 글, 산문 혹은 생각 등 그 어떤 것이든지 자신이 전에 몰랐던 것이나 혹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