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을 통한 광고효과 측정
- 최초 등록일
- 1999.10.30
- 최종 저작일
- 1999.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진단적 보완
2. 기억에 관한 최근의 관심
3. 연합
4. 정신적 연결망
5. 활성화 확산
6. 의미와 상표이미지
7. 연결의 근접성
8. 연결의 강화
9 기억에 관한 전통적 관점과의 차이
10. 인출단서
25장 소비의 심리 구조학
본문내용
상표중심 측정치들은 상표인지도, 상표이미지, 상표태도 광고중심 측정치들은 광고회상, 광고재인, 메시지습득, 광고에 대한 호감도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뭐라고 할까? 참 다양함과 보완으로 가득 찬 측정치들의 관계들을 잘 이야기하는 것 같다. 하지만 광고의 정확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너무나 많은 측정치들이 요구되고 있는 것 같다. 아마 이것은 광고 효과 자체의 모호성 내지는 복잡성 때문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광고는 때는 메시지 전달을 하지만 때로는 감정(긍정적인 상표나 기업이미지)을 전달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측정치로 광고의 효과를 측정한다는 것은 약간 무리라는 생각이다. 그래서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하고 서로 보완적인 광고효과 측정치가 나온 것 같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