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리 영상과 시멘틱 세그먼테이션을 활용한 보행환경 평가 (Assessing Walkability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Semantic Segmentation Techniqu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4.10
15P 미리보기
거리 영상과 시멘틱 세그먼테이션을 활용한 보행환경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리학회지 / 59권 / 5호 / 673 ~ 687페이지
    · 저자명 : 최재연, 노승민, 김소망, 강영옥

    초록

    보행은 주민의 건강 증진, 녹색 교통수단, 커뮤니티 강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보행의 긍정적 효과가 인지되면서 도시 관리에 있어 걷기 좋은 보행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해 가로 단위의 상세한 수준에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보행환경 평가는 주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현장 조사나 설문조사 등을 통해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를 구체화하였지만, 대부분 일부 지역에 국한하거나, 일부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가 주를 이루었다. 최근 구글 등 인터넷 포털에서 제공하는 거리 영상과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딥러닝 기술의 발전은 가로 단위의 상세한 수준에서 도시 건조 환경을 세밀하게 관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거리 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가로 단위의 상세한 수준에서 보행환경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접근성 등 4가지 카테고리의 9개 평가 지표를 설정하고, 거리 영상을 크롤링한 후, 거리 영상에 시멘틱 세그먼테이션 기법과 GIS 기반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보행환경 평가 지표 자료를 구축하고, 보행환경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거리 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보행환경을 가로 단위로 상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이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 대상 지역인 안양시에 적용하여 보행환경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Walking is recognized for its positive effec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promoting residents' health, serving as a green mode of transportation, and strengthening community ties. As the benefits of walking become more widely acknowledged, creating a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has become a crucial element in urban management. Consequently,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of the walking environment at the street level have become a key topic.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and specified factors affecting walking through field surveys or questionnaires, these studies were mostly limited to specific areas or particular groups of residents. Recent advancements in street view images provided by Internet portals such as Google, along with developments in deep learning technology, have made it possible to closely observe the urban built environment at a detailed street level.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edestrian environment at this detailed street level by utiliz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To achieve this, nine evaluation indicators were established across four categories: safety, convenience, comfort, and accessibility. Semantic segment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street view images, data crawling was conducted using APIs, and GIS-based analytical methods were employed to compile a dataset of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indicators and conduct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s a detailed and efficient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at the street level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Additionally, its practical applicability was demonstrated by applying the framework to analyze and propose improvements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study area of Anyang 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