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의 세대별 문화성향 차이와 대인간 의사소통능력의 특성 (Cultural Self-Construal and Characteristic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Koreans in Different Age Group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한국인의 세대별 문화성향 차이와 대인간 의사소통능력의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60권 / 3호 / 455 ~ 480페이지
    · 저자명 : 김해진, 이동훈

    초록

    현대 한국 사회는 전통적인 집단주의 문화에서 벗어나 개인주의 문화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대를 살아가는 다양한 연령층의 한국인들은 자신들이 익숙한 문화와 의사소통방식을 고수하며 세대간 의사소통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층의 한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문화적 자기관, 즉 문화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여 그 관계성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인의 문화적 성향은 Markus와 Kitayama(1991)의 문화적 자기관 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상호독립적, 상호의존적 자기관 척도(Singelis, 199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의사소통능력은 Rubin과 Martin(1994)의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ICCS)를 발전시켜 15개의 의사소통차원에서 포괄적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는 허경호(2003)의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상호의존적 자기관 점수가 상승하였으며, 특히 50대와 60대가 20, 30, 40대에 비하여 높은 상호의존적 자기관 점수를 보고하였다. 둘째, 개인의 상호의존적 자기관 점수와 상호독립적 자기관 점수의 차이값을 기반으로 전체 참가자를 상호의존적 자기관 우세집단과 상호독립적 자기관 우세집단으로 구분하여, 문화성향집단과 세대(20대/30대/40대/50대/60대)에 따른 차이를 의사소통 하위 요인별로 다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주장력과 지지에서 문화성향집단과 세대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상호독립적 자기관 우세집단은 세대에 따른 주장력 점수에 큰 차이가 없지만, 상호의존적 자기관 우세집단은 연령이 낮을수록 주장력이 낮아지는 추세를 반영한다. 지지의 경우 상호독립적 자기관 우세집단은 연령에 따른 점수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상호의존적 자기관 우세집단에서는 세대에 따라 점수에 변동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한국인들은 연령에 따라 주된 문화성향의 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다른 의사소통 특성과 능력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영어초록

    The modern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ing from the traditional collectivism culture to the individualism. However, Korean people in different age groups are likely stick to their familiar culture and communication styles, and experience communicational conflict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In the current research,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elf-construa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an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in different age groups. Cultural self-construals of participants are measured by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ales (Singelis, 1994),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the cultural self-construal theory of Markus and Kitayama(1991), while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s measured by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GICCs)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the Rubin & Martin(1994)’s IC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people in 50s and 60s show relatively high scores i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an any other younger age groups. As the age increased,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ore increased. In particular, those in their 50s and 60s reported high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ores compared to those in their 20s, 30s, and 40s. Second, based on the difference score between the individual'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all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hight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and an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And then the effects of group and age on sub-factors in GICCs were analyzed by MANOVA. In the results from an additional analysis comparing the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with the high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the high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hows relatively higher assertiveness and expressiveness while the high interdependent group shows relatively lower score. The current results imply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self-construals among Koreans in different age groups and these differences may result in different communication styles and compet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