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차 세계대전 연구동향과 전망 (Contemporary Historiography on the Second World Wa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6.09
40P 미리보기
2차 세계대전 연구동향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100호 / 189 ~ 228페이지
    · 저자명 : 김남균

    초록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연구는 크게 냉전시기와 냉전 후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것은 냉전 종식 이후 나온 연구서들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이다. 냉전이 종식되고 1990년대 구 공산권 국가들의 사료가 공개되자 2차 대전 연구에 새로운 지평이 열리기 시작했다. 새로운 사료의 발굴로 2차 대전에 대한 재해석이 요구된 것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2차 대전을 억지하지 못한 책임에 중점을 두는 대신 2차 대전 발발의 근본적 원인은 히틀러였음이 다시 강조되고 있다. 물론 히틀러 외에 1차 대전 이후 겪은 독일과 유럽 사회의 역사적 경험도 중요한 발발 요인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진주만 기습에 대한 이해도 진주만 기습 이전 태평양의 지배권을 놓고 각축을 벌인 미일관계에서 찾으려는 해석이 시도되고 있다.
    냉전 이후 나온 연구서들은 연합군의 승리 요인에 대해서도 새로운 해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과 영국의 협력을 승리의 근본적인 이유로 보는 대신 동유럽에서 펼쳐진 독일과 러시아의 전투가 가장 중요한 전투였고, 이것을 승리로 이끈 러시아가 2차 대전의 승패를 결정 지었다는 것이다. 2차 대전의 전세를 역전시킨 가장 중요한 전투는 태평양이나 서유럽 지역에서 있었던 미드웨이 해전이나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아니라 러시아 전선에서 있었던 모스크바, 스탈린그라드, 그리고 쿠르스크 전투였다. 또한 연합군의 승리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도 산업능력보다 문화적인 요인을 중시하는 해석이 나타났다. 전쟁 책임에 대한 해석 또한 바뀌고 있다. 전범을 재판한 연합국의 법적 근거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범 재판이 패전국에 미친 영향이 크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있다. 무엇보다 스탈린의 학살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나오면서 전범 재판을 실시하였던 연합국의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냉전 종식 이후 2차 대전 연구에서 주목할 새로운 경향은 민족주의 혹은 국가주의 해석을 극복하고 초국가적 시각(transnational perspective)에서 세계 대전을 연구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승전국이나 패전국의 시각을 초월하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바탕을 둔 연구의 등장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다. 러시아의 학살이 새로 주목되는 것이나 승전국의 공습과 같은 것에 대한 비판적 접근도 이런 변화의 일부분이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eace in the post war world did not last long. The world was immediately trapped into terror of the Cold War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The Cold War situation naturally left a deep ideological impact upon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World War. In the West, many historians thought the Second World War was an ‘unnecessary war’ because it would not have been inevitable if the Western political leaders had wisely responded to Adolf Hitler’s aggression. The unnecessary war was thought to benefit the Soviet Union, which rose up as a great power and consequently initiated the Cold War.
    From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political leaders were criticized for appeasing Hitler to initiate the Second World War and , regarding the reason of the Allies‘ victory, the industrial and economic power of the Western countri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was evaluated as the major factor in defeating the Axis powers. Concerning the issue of war responsibility, the Nazi leaders and Japanese militarists were considered to have fair trials at the war crimes tribunals.
    With the opening of the archives of Russia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fter the Cold War ended in the 1990s, however,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World War was strongly challenged. New materials discovered from the archives of the former communist countries provided contradictory evidence against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about the Second World War. The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was required to be rewritten and reinterpreted.
    New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World War in the post-Cold War era verifies the imperial ambition of the Germany ignited by Adolf Hitler as the major cause of the war. Along with Hitler,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First World War and its impact on the European and German societies have also been reevaluated regarding cause of the Second World War.
    Explaining the Allies’ victory, new interpretations emphasize the role of the Russian military forces in defeating the German forces in the Second World War. The critical turning points in the war were made in the eastern front rather than in the western front or in the Pacific. Because conquering Russia was the major war aim for Hitler, he deployed more forces in the East than in the West. He expected to get an easy victory in Russia. But he faced miserable defeats in the East against the formidable Russian forces, especially in Kursk, Stalingrad, and Moscow. The Allies’ victory was won because of the turning points made in the East.
    On the issue of the war crimes trials, new interpretations challenge the conventional one. The war crimes trials were not interpreted as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in the defeated societies. The defeated countries did not voluntarily take any ethical responsibility about the war. In addition, more importantly, new interpretations based on recently opened materials show that the Allies also committed war crimes too. Stalin killed several millions of innocent civilians, who had nothing to do with the war, which is as many as Hitler did. Stalin’s massacre of civilians occurred in the regions between Russia and Germany, which were termed “Bloodlands” by Timothy Snyder. The justice of the war crimes tribunals therefore has been seriously questioned.
    Conclusively speaking,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World War seems to lose its ground against new interpretations in the post Cold War era. However, it is still very hard to define the decisive trend in the recent historical writings about the Second World War because there are still many various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ideology, race, nation and other factors about the war. As John Keegan predicts, it will not be easy to see a well-balanced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World War in the near future. Maybe we need to wait another 100 years to read that kind of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