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 초등 교사들이 본 한국사교육의 문제점과 과제 (The Problem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Extended Suggestions from Pre-Service Teachers’ Point of View)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0.03
23P 미리보기
예비 초등 교사들이 본 한국사교육의 문제점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 / 113호 / 173 ~ 195페이지
    · 저자명 : 송인주

    초록

    해방 이후 교육과정의 시기별 개정에 따라 한국사교육은사회와 국사 및 한국 근·현대사라는 교과목으로 그 명칭의 변화와 더불어 내용이 구성되어 왔다. 하지만 때로 교과서에 서술된 역사지식은 엄밀한 의미에서 볼 때 중립성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라, 특정 정권이 지향하는 정치성 혹은 당파성에 토대하여 짜여져 후유증의 반향 또한 컸다.
    그래서 오늘날 한국사교육이 빠른 사회적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아카데믹한 갈등에 대한 논쟁과 함께 “사회정의” 및 “국가(사회) 통합”이라는 당면 과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하는 시각에서 볼 때, 그러한 점들은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 목적 달성을 전망하는 거울로써 한국사교육을 실현하는데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였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사회정의”와 “국가 통합”이라는 문제는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는 당파성에 따라서 다르게 이해될 수 있는 가변적인 성질의 것으로, 이러한 정치성은 자칫 한 사회의 규준을 도출하는데 필요한 공동체의 이해의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국사교육은 자국사로서 그 자체의 정당성과 위상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한반도를 둘러싼 대외 정세나 역학관계 및 한국사 자체에 대한 평가 혹은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각, 교육 목표 설정이라는 몇몇 변수가 제기될 때마다 정치성을 민감하게 띨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일각에서 그 교육적 무용론이 제기되면서도 한편으로는 일본과 중국 등 주변 국가를 중심으로 한 역사왜곡 사태가 불거질 때면 급선회하여 역사교육을 강화하자는 주장의 부상에 힘입어 세간의 시선을 끌기도 하였다. 현재까지도 이러한 패턴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 심각한 점은 이러한 사회적 동향과 맞물려 내부적으로 한국사교육에 대한 메타담론의 빈곤으로 말미암아 막상 내용선정의 기준과 타당성(합리성) 측면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한국사교육이 과거의 개인이나 공동체가 공유하고 경험했던 세계를 오늘날 학생들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역사의 역동성과 가치를 발견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해방 이후 이제까지 한국전쟁과 분단, 민주화 등의 사회적 격변기를 겪으며 빚어진 현실적 제약과 모순 속에서, 정작 한국사교육의 방향과 성격 그리고 현재와 미래의 학습자들에게 단계적으로 요구되는 역사적 가치나 개념 제시를 둘러싼 메타담론에대한 논의는 기대한 것만큼 활성화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교의 교양과정에 이르기까지 대략 10여 년 이상 한국사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역사인식이나 의식의 정도를 살펴보면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후일 예비 초등 교사로서 현장에서 사회과(역사)를 지도하며 길잡이 역할을 수행할 교사들의 입장에서 볼 때 문제가 지니는 반향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이상의 문제의식 하에 필자는 최근 1년 동안에 걸쳐 한국사(1학년) 및 사회과교육Ⅱ(역사교육)의 강좌를 진행하면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종래의 학습 경험을 토대로 그들이 말하는 한국사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향후 학생들에게 필요한 한국사교육의 과제에대해서 몇 가지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앞으로 학습자들을 고려한 한국사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역사교육철학의 방향은 물론이고 그와 관련된 콘텐츠의 개발과 선정 및 방법과 이론적 틀의 정립을 위한 메타담론의 논의를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서 일정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즉 과거에 학습한 경험을 근거로 한국사교육을 바라보는 예비초등 교사들의 역사인식의 행방과 성격에 착안하여 연구사적 문제의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고 하겠다.
    조사 대상은 필자가 재직하고 있는 대구교육대학교 1학년 2개 반과 3학년 3개 반이다. 수강생은 각각 32~35명 정도로 구성되었으며 조사 방법은 스피드데이팅(speed dating: 학생들 간의 1대1 대화전략)을 실시한 후 4~5명 단위로 그룹을 만들어 학생들이 그룹별로 토의한 내용을 그래픽오거나이저(Graphic Organizer)라는방식을 통해 구체화하도록 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rough Pre-service teachers’ Korean history learning and to research the direc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Their negative memory on Korean history learning is full of suggestions on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As a matter of fact it’s hard to say that Korean history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has not been designed in the long-term view because of rapid social changes. Accordingly, a discussion on meta-discourse has to be done in earnest to secure rational purpose of Korean history education for future society.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xtract meaningful experiences and values among the traditions and heritage of the past based on educational purpose. Furthermore, it involves a change in direction in which students recreate and express historical accidents showing our unique identity in history classe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show historical concepts or valuable concepts related with subjects for children’s historical thinking development. In short, why Korean history education should be done; for whom education should be taught; more sincere exploration on these points is needed.
    Especi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start showing an interest in their surroundings, to provide clearly and specifically how to communicate with history can be a foundation of histor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